한국은행, 기준금리 3.5% ‘11회 연속’ 동결

2024. 5. 23. 13:2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방송 : 채널A 뉴스A 라이브 (12시~13시 20분)
■ 방송일 : 2024년 5월 23일 (목요일)
■ 진행 : 황순욱 앵커
■ 출연 :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

[황순욱 앵커]
경제의 궁금한 이야기 김광석 한양대 겸임 교수와 함께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수님 어서 오십시오.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오늘 오전에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또 동결했습니다. 지난해 2월부터 계속 11번 금리를 발표했는데 11번 다 연속 동결입니다. 이번에 한국은행 결정 어떤 영향이 있는 것인지 여쭙고 싶은데요. 사실 금리가 중요한 이유는 경제를 잘 모르는 제 입장에서도 많은 주변에 경제 활동들이 금리를 기준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까. 무엇이 지금 제일 문제가 되는 겁니까, 동결된 이유는.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
금리가 어떻게 결정되느냐. 한국은행 입장에서는 어떤 것을 근거로 금리를 결정하느냐. 요약을 해봐드리겠습니다. 크게 3가지입니다. 하나가 물가 안정이 됐느냐.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2.9%니까 목표 수준 2%를 상회하니까 금리를 인하할 수가 없는 겁니다. 아직 금리 인하할 때가 아니라는 거죠. 두 번째 굉장히 중요한 요소는 바로 거시 경제. 경기 안전입니다. 경기가 아직도 불안정이에요. 가계 부채 문제도 심각하고 부동산도 불안정하고 또 경제가 꾸준히 회복될지도 미지수입니다. 이런 상황이니까 금리를 추가적으로 인상해서 물가 잡기도 어려운 겁니다. 계속 동결하는 것이고요. 세 번째는 금융안전인데 부동산 PF다, 부동산 부실이다, 이런 여러 가지 불안 문제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금리를 인상할 수도 없는 겁니다. 지금은 계속 금리를 인상하지도 인하하지도 못하는 동결을 11번 연속 유지하는 그런 흐름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지현 인턴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