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은 전셋값 1.7억 올라"…고개 드는 '갭투자'

이민하 기자 2024. 5. 23. 13: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 품귀'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장준혁 다방 마케팅실장은 "연립·다세대 전세 기피 현상이 길어지면서, 아파트 전세 매물이 꾸준히 줄고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서울 등 수도권 내 매매가격과 전셋값 차이가 줄어든 일부 단지에서 갭투자 매매가 다시 나타나는 모습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 품귀, 평균 보증금 1년 새 4.1% 상승…구로·은평·양천·종로·도봉 5곳은 하락

서울 아파트 '전세 품귀'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전세 계약은 절반 가까이 줄어들고 보증금은 올랐다. 강남구 전세보증금은 1년 새 1억8000만원가량 증가했다.

23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운영사 스테이션3)이 국토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지난해 4월 1만3892건에서 7729건으로 44.4%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평균 보증금은 5억589만원에서 5억2655만원으로 4.1%(2066만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동안 전세 거래량이 절반가량으로 줄어드는 동안 전셋값은 오히려 오른 것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4개 지역에서 1년 동안 평균 보증금이 1억원 넘게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강남구다. 지난해 4월 7억2167만원이었던 평균 보증금은 8억9553만원으로 1억7386만원 올랐다. 이어 서초구 1억7501만원(지난해 7억5683만원→올해 9억3184만원), 광진구 1억4565만원(5억4089만원→6억8654만원), 송파구 1억76만원(5억 7995만원→6억8071만원) 순으로 1억원이 넘는 상승 폭을 보였다.

서울 대부분(20개) 지역에서 평균 보증금이 상승한 가운데 5개 자치구는 1년 전보다 평균 보증금이 하락했다. 구로구는 지난해 4월 3억6175만원에서 3억2357만원으로 평균 보증금이 3818만원 하락해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다. 이어 은평구 2228만원(4억1162만원→3억8934만원), 양천구 1449만원(4억 9541만원→4억 8092만원), 종로구 950만원(5억8972만원→5억8022만원), 도봉구 837만원(2억8477만원→2억7640만원) 순으로 평균 보증금이 하락했다.

당분간 전셋값 상승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장준혁 다방 마케팅실장은 "연립·다세대 전세 기피 현상이 길어지면서, 아파트 전세 매물이 꾸준히 줄고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비수기인 4~5월 이후에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이 심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셋값 상승이 이어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갭투자' 현상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서울 등 수도권 내 매매가격과 전셋값 차이가 줄어든 일부 단지에서 갭투자 매매가 다시 나타나는 모습이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전국에서 갭투자 매매가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 상위 10곳 중 7곳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갭투자 거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 화성으로 파악됐다. 1분기 전체 매매 거래 2130건 중 100건(4.6%)이 갭투자 매매였다. 이어 경기 수원 영통구(73건), 충남 천안 서북구(72건), 경남 김해(69건), 인천 서구(60건), 경기 시흥(58건), 충남 아산(57건), 인천 연수구(53건), 경기 남양주(52건), 경기 성남 분당구(52건) 순이었다.

이민하 기자 minhari@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