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때문에... 고소득 직장인 소득만 ‘뚝’ 떨어졌다

강우량 기자 2024. 5. 23. 12: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실질 소득은 고물가 여파로 1분기 기준 7년 만 최대 폭 감소

지난해 삼성전자 등 대기업들이 실적 악화를 이유로 연초에 성과급 지급을 대폭 줄였는데, 이에 올해 1분기(1~3월) 근로소득이 3년 만에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 상위 20%인 5분위에서만 근로소득이 1년 전보다 4% 줄었고, 소득 하위인 1~4분위는 근로소득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고소득층 중심으로 소득이 하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23일 통계청의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1분기에 직장인들이 받은 월급과 연말 성과급 등 월평균 근로소득은 329만1000원으로 1년 전 같은 분기의 332만6000원보다 1.1% 줄었다. 근로소득이 줄어든 건 코로나 확산으로 고용이 위축됐던 2021년 1분기 이후 3년 만이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본사(자료사진) 2023.3.21/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작년에 실적이 부진했던 삼성전자가 성과급을 주지 않았고,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등도 성과급을 줄인 영향으로 근로소득이 감소했다는 게 통계청 설명이다. 대기업에 다니는 고소득 직장인들의 상여금이 줄어들면서, 1분기에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근로소득은 806만7000원으로 1년 전보다 4% 줄었다. 반면 중·저소득인 1분위부터 4분위까지 근로소득은 각각 1년 전보다 6.6%, 1.8%, 3.8%, 0.7%씩 늘었다.

1분기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 늘었지만, 물가가 소득보다 더 크게 뛴 탓에 1분기 실질소득(명목소득에서 물가를 뺀 것)은 1년 전보다 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기준으로 실질소득이 감소한 것은 지난 2021년 1분기(-1.0%) 이후 3년 만이다. 또 2017년 1분기(-2.5%) 이후 7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고물가는 가구 소비에도 악영향을 끼쳤다. 1분기 가계지출은 398만4000원으로 1년 전보다 2.5% 증가했다. 소득 증가 폭(1.4%)보다 지출 증가 폭이 더 큰 것이다. 식료품·비주류음료(7.2%) 등 농산물 가격이 오른 데 따른 지출이 크게 늘었다. 음식‧숙박(5.8%) 등의 지출도 늘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