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총각이 국제결혼은 옛말… 절반 이상이 대졸, 3명 중 1명 고소득자

표태준 기자 2024. 5. 23. 12: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뉴스1

국제결혼 중개업을 통해 국제결혼을 하는 이의 절반 이상이 대졸자이며, 3명 중 1명은 월소득 4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학력이 낮거나 월소득이 낮은 이들이 국제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과 비교된다.

여성가족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년 결혼중개업 실태조사’ 결과를 23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국제결혼 중개업 이용자의 학력은 ‘대학교 이상’이 50.6%로 ‘고등학교 이하’(49.4%)를 이 조사가 시작되고 처음 앞질렀다.

2014년까지만 해도 국제결혼 중개업 이용자의 상당수가 ‘고등학교 이하’(70.2%)였다. 외국인 배우자의 학력도 ‘대학교 이상’이 2014년 12%에서 2023년 26%로 증가했다.

국제결혼 중개업 이용자의 월평균 소득은 ‘400만원 이상’이 34.8%로 가장 많았다. ‘300~399만원’(29.1%), ‘200~299만원’(28.9%), ‘199만원 이하’(7.2%) 순이었다.

2014년에는 ‘400만원 이상’(11.3%), ‘300~399만원’(14.9%), ‘200~299만원’(40.6%), ‘199만원 이하’(33.2%) 등 국제결혼 이용자의 소득 수준이 낮은 편이었는데, 9년 사이 뒤바뀐 것이다.

국제결혼 중개업 이용자의 나이는 40대(55.7%)가 가장 많았다. 50세 이상은 30.8%, 39세 이하는 13.5%였다. 반면 외국인 배우자의 나이는 19~24세(37.3%), 25~29세(23.3%), 30~34세(21.8%), 35세 이상(17.6%) 순이었다.

외국인 배우자 출신국은 베트남(80%)이 가장 많았고, 캄보디아(11.9%), 우즈베키스탄(3.1%), 태국(2.9%), 중국(0.6%), 기타(1.4%) 순이었다.

국제결혼 중개업 이용 비용은 중개수수료가 평균 1436만원, 이외 비용(예단비, 현지 혼인신고비 등)이 평균 469만원으로 평균 1905만원이 들었다. 외국인 배우자가 현지 중개인에게 지불하는 중개수수료 평균은 87만5000원이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