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닷없이 천장으로 솟구치다…맑은 하늘에 돌발 난기류 왜? [스프]

장세만 환경전문기자 2024. 5. 23. 11: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을 출발해 싱가포르로 가던 여객기가 강한 난기류를 만나 승객 1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다치는 사고가 났습니다.

CNN은 매년 미국에서만 6만 5천 대 항공기가 난기류를 경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지구 온도 1도 상승 시 청천 난기류 최대 14% 증가 기후위기와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 걸까요? 앞서 10킬로 상공에서 제트기류와 이로 인한 청천 난기류가 주로 발생한다고 말씀드렸는데, 바로 이 고도와 관련이 깊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구력] "기후변화로 더 늘어나"…항공 안전 위협하는 '청천 난기류'

 
영국을 출발해 싱가포르로 가던 여객기가 강한 난기류를 만나 승객 1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다치는 사고가 났습니다. 불과 3분 만에 항공기 고도가 1만 1,000미터 상공에서 1,800미터나 급하강했습니다. 당시 기내에선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사람들이 공중에 솟구쳤다 떨어질 정도로 충격이 컸습니다.

난기류 문제는 항공 안전을 위협하는 무서운 존재입니다. CNN은 매년 미국에서만 6만 5천 대 항공기가 난기류를 경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기후위기와도 큰 연관이 있다는 겁니다. 특히 청천 난기류라는 게 위험을 높이는 주범입니다. Clear-air-turbulence, 즉 마른하늘에 갑자기 돌풍처럼 생기는 난기류를 뜻합니다.
 

영상으로 남은 '청천 난기류' 기내 모습

지난해 7월 에어차이나 여객기가 베이징으로 향하다 겪은 청천 난기류 사고가 당시 승객이 촬영한 영상으로 남아있는데요. 창문 밖으로는 비바람 없이 화창한 날씨로 보이는데 전조 증상 하나 없이 갑자기 기체가 크게 낙하하면서 흔들리는 모습입니다. 승객들 비명이 터져 나왔고 천장에 붙어있던 출구 사인이 승객과 부딪히면서 떨어졌습니다.
 
 
청천 난기류는 제트기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제트기류는 높이 10킬로미터 안팎의 고고도 상공에서 부는 편서풍의 일종입니다. 특징은 바람길이 매우 좁으면서 풍속이 강하다는 겁니다. 이런 제트기류가 주변 공기를 교란시키면서 소용돌이 바람을 일으키는 현상이 청천 난기류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하필 국제선 민간 항공기의 순항 고도와 제트기류 발생 고도가 겹칩니다. 그만큼 위험성이 큰 거죠. 여기에 위험을 더 높이는 이유가 또 있습니다. 비바람을 동반하는 일반적인 난기류는 항공기 기상 레이더로 쉽게 관측이 되는 반면 청천 난기류는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기상 레이더의 원리가 공기 속 수분이나 습도 차를 이용해 난기류를 잡아내는 방식인데, 청천 난기류는 말 그대로 마른하늘에 갑작스러운 돌풍이라 수분이나 습도가 없기 때문입니다.
 

지구 온도 1도 상승 시 청천 난기류 최대 14% 증가

기후위기와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 걸까요? 앞서 10킬로 상공에서 제트기류와 이로 인한 청천 난기류가 주로 발생한다고 말씀드렸는데, 바로 이 고도와 관련이 깊습니다. 대기층은 고도 10킬로미터 경계로 위아래로 나뉩니다. 10킬로미터 위쪽은 성층권, 그 아래쪽은 대류권으로 구분하죠. 그런데 온난화가 심각해지면서 아래쪽 대류권이 기온이 높아지면서 대류권과 성층권 사이의 기온 격차가 커지는 겁니다. 이로 인해 제트기류가 교란되는 등 불안정성이 높아지면서 청천 난기류 발생 가능성이 그만큼 더 커지는 걸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장세만 환경전문기자 jang@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