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기류가 가장 심한 노선은 어디일까? [특파원 리포트]

박일중 2024. 5. 23. 10: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행기를 타고 여행하면서 이륙 때와 착륙 때를 제외하곤 안전벨트를 풀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착륙 때는 안전벨트 경고등이 켜지기도 하고, 승무원들이 일일이 확인하기도 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비행기가 고도를 유지하며 날아가는 순항고도에 이르면, 난기류가 예상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고등이 꺼집니다. 승객들도 안정감을 느끼게 되고, 옆자리가 비어 있으면 안전벨트를 풀고 누워서 가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번 싱가포르 항공기가 난기류를 만나 인명피해가 나면서 난기류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습니다. 평소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했던 행동이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고였기 때문입니다.

■ 난기류는 언제 발생할까?

하늘 위에서 난기류는 거의 항상 발생한다고 보면 됩니다. 다만 대부분의 경우 강도가 약해서 비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강한 바람 속에 있다고 하더라도 난기류는 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속도가 다른 공기가 만나게 될 때 난기류의 강도는 강해집니다. 뭔가를 태울 때 피어오르는 연기가 주변 공기와 만나면서 소용돌이치듯 감기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난기류입니다.

속도가 다른 공기가 만나게 되는 경우는 항공기가 만나게 되는 제트기류 주변이 한 예입니다. 또 산악지대를 지나거나 수직 구름을 지날 때 강한 난기류를 만날 수 있습니다.

칠레 산티아고 시내를 높은 산맥이 둘러싸고 있다.


비행기는 엔진의 힘으로 앞으로 나가는데, 난기류가 비행기 날개에 부딪히게 되면 비행기가 뜨는 힘, 즉 양력에 영향을 주고 이때 비행기가 흔들리게 됩니다(양쪽 날개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면 비행기가 좌우로 흔들립니다). 다만 같은 난기류라고 하더라도 비행기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수 있습니다.

먼저 비행기의 디자인입니다. 날개 면적으로 비행기의 면적을 나눈 수치, 즉 익면 하중이 얼마나 되느냐입니다. 이게 클수록 비행은 부드러워집니다.

비행 속도도 영향을 미칩니다. 비행기가 천천히 날고 있다면 난기류에 적응할 시간을 벌게 됩니다. 그래서 좀 더 부드럽게 지나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행기가 빠르게 날고 있다면 충격은 더 커지게 되겠죠.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강한 바람을 만났을 때 속도에 따라 운전대가 흔들리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생각하면 쉽습니다.

■ 그럼 난기류가 가장 심한 노선과 공항은?

위에서 난기류가 발생하기 쉬운 곳을 설명했습니다. 그런 지역을 지나는 노선에서 강한 난기류를 만날 가능성이 큰 겁니다. 태평양과 안데스산맥이 만나는 곳, 강한 상승 기류와 뇌우 활동이 많은 적도 지역이 그 예입니다.

난기류의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엔 EDR(Eddy Dissipation Rate)이 있습니다. 과거엔 조종사나 승객의 느낌으로 강도를 측정했지만 이를 항공기 유형이나 비행 고도, 난기류를 겪은 느낌 등에 좌우되지 않고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제시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기준으로 터블리(tubli)가 집계한 순위를 보면, 평균적으로 칠레 산티아고와 볼리비아 산타크루즈를 오가는 노선의 난기류가 가장 심했습니다. 바로 안데스산맥을 따라 비행하는 노선입니다. 2023년 미국과 영국의 기상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15만 개의 노선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난기류가 심한 공항은 일본에 있는 공항들이 상위권에 상당수 포함돼 있습니다. 산과 바다가 만나는 지역적 특성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순위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난기류로 인한 사망자는 얼마나?

난기류로 사망자가 발생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미국 항공사의 경우 난기류로 인한 마지막 사망자는 1997년 도쿄에서 호놀룰루로 향하던 유나이티드 항공사 비행기가 태평양 상공에서 난기류를 만났을 때였습니다. 다만 기후 변화 등의 영향으로 비행기가 운항 중 난기류를 만나는 경우가 늘고 있고, 이로 인한 부상자도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미 연방항공청(FAA)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2009년부터 2022년 사이 승객과 승무원 163명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습니다. 대형 항공사 사고의 3분의 1 이상이 난기류이기도 합니다.

사실 비행기가 난기류를 만나면 비행기 안에 타고 있는 사람으로서는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습니다. 다만 부상을 예방하려면 항상 안전벨트를 매고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예상되는 난기류는 조종사가 피해갈 수 있지만, 사상자가 나는 난기류 사고는 조종사도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벌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젠 비행기 좌석 옆자리가 비어 있다고 해서 누워 가는 일은 피하는 게 좋겠습니다. 안전벨트로 몸을 묶어 놓은 상태가 아니라면요.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