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CEO "올해 금리인하 가능성 '제로'"

정민아 2024. 5. 23. 10: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골드만삭스 그룹의 데이비드 솔로몬 최고경영자(CEO)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제로"라고 말했습니다.

솔로몬 CEO는 이달 초만 해도 인플레이션이 시장의 예상보다 고착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지만, 경제가 "매우 잘 돌아가고 있다"고 말한 바 있으며,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지난달 올해 7월과 11월 두차례 금리인하가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 미 정부 부채 지속가능성 경고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CEO/사진=연합뉴스


골드만삭스 그룹의 데이비드 솔로몬 최고경영자(CEO)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제로"라고 말했습니다.

오늘(23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솔로몬 CEO는 이날 보스턴칼리지가 주최한 행사에서 "아직 금리 인하에 나서도록 하는 지표를 보지 못했다"면서 이같이 전망했습니다.

그는 인공 지능(AI) 인프라에 대한 투자도 연준의 통화 긴축에도 불구하고 경제의 탄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솔로몬CEO는 그럼에도 소비자들이 고물가의 압력을 느끼기 시작했다면서 그 증거로 맥도널드와 자동차부품 소매업체 오토존의 최근 수익 보고서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미국 경제 한가운데서 기업을 운영하는 CEO들과 대화를 한 결과, 이들 기업이 소비자 행동 변화를 눈치채기 시작했다"면서 "인플레이션은 명목상의 문제가 아니라 누적적인 문제로 모든 것이 갈수록 비싸지고 있고, 미국 일반인들이 이를 느끼기 시작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이러한 소비자 행동 변화는 6개월 전에 비해 "실질적이고 명백한" 경기 둔화의 위험을 높인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또 지정학적인 취약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상당 기간 안고 살아가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솔로몬 CEO는 이달 초만 해도 인플레이션이 시장의 예상보다 고착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지만, 경제가 "매우 잘 돌아가고 있다"고 말한 바 있으며,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지난달 올해 7월과 11월 두차례 금리인하가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었습니다.

그는 유럽 경제 부진과 구조적인 인구통계학적 문제를 고려할 때 유럽중앙은행(CEO)은 금리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점쳤습니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이날 미국의 장기 재정 전망과 관련해 부채 지속 가능성의 주요 지표가 역대 최악 수준으로 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지난 5년간 미국의 재정 지속가능성에 대한 전망이 심각해졌다"면서 "특히 향후 예상되는 높은 금리로 인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과 실질 이자 비용의 궤적이 상당히 악화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미국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현재 98%이지만 2034년 130%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결국 GDP 대비 부채비율을 안정화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거의 경험해보지 않았던 정도의 재정 흑자가 필요한 시점까지 몰릴 수 있다"며 "재정적자 감축 조건은 갖춰져 있지만 정치적 모멘텀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은 부채 지속가능성의 주요 지표로 GDP 대비 순 인플레이션 조정이자 지급액을 반복해서 언급해왔으며 1%의 금리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언급해왔으나 골드만삭스는 이 비율이 2034년 2.3%에 이를 때까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5년 전만 해도 이 비율을 1.5%로 예측했으며, 제이슨 퍼먼 하버드대 교수와 로런스 서머스 전 재무부 장관은 2020년 논문에서 실질 순이자가 GDP의 2%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정민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ma1177@naver.com]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