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영상 "지속가능한 AI 혁신 위해 안전성 균형 도모해야"

신채연 기자 2024. 5. 23. 10:1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지난 21일~22일 서울에서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유영상 대표가 약 17개국 정부, 재계 인사들 앞에서 국내 대표 AI(인공지능) 기업으로 지속가능한 혁신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고 오늘(23일) 밝혔습니다.

유 대표는 어제(22일) 장관세션에서 17개국 디지털부 장관들과 오픈AI, MS 등 빅테크 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라는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유 대표는 AI로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사회적 가치와 AI로 촉발되는 사회적 문제가 공존하는 현시점에서 국제사회가 머리를 맞대어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공조해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먼저 유 대표는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 관련 에너지 소비, 접근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 정부와 기업들의 노력을 소개했습니다.

유 대표는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막대한 전력과 비용이 소요된다"며 "한국의 경우 기업과 정부가 협력해 전력 사용량과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AI 칩 개발과 AI데이터센터(AIDC) 구축 등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AI가 가져오는 한계성과 페이크 뉴스 같은 부작용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유 대표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생성형 AI 레드팀 챌린지'를 언급하며 "이 행사는 SKT, 네이버 등 주요 한국 기업의 AI 모델에서 약점과 위험 요소를 찾아내는 행사였는데 AI 지속가능성과 안전성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유 대표는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발전'을 위해 세 가지 논의 안건을 제시했습니다.

우선 AI 선도 국가들이 AI를 개발하고자 하는 국가들과 함께 협력해서 AI 인프라를 확산,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전 세계 누구든 AI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특히 스타트업, 연구기관, 대학이 보다 쉽게 AI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유 대표는 또 AI의 활용 범위를 넓힘과 동시에 그에 따른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도 국가와 민간 기업들이 나서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마지막으로 AI가 우리 일상 속에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가운데 학습 데이터의 편향성 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술적, 정책적 조치를 함께 마련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유 대표는 "국제사회가 AI의 안전성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AI가 창출할 수 있는 혁신성에 대해서도 균형 있는 고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국가와 기업들이 협력해 안전을 기반으로 AI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AI 혁신을 이뤄내는, 균형 있는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