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1.9㎞ 수직 하강 '공포의 난기류'...앞으로 더 많아진다

YTN 2024. 5. 23. 10:0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작년 말, 하와이에 근접한 여객기가 1만 미터 상공에서 강력한 난기류를 만나 승객과 승무원 30여 명이 다쳤습니다.

중상자도 열 명이 넘었습니다.

또 지난해 3월엔 난기류에 싸인 루프트한자 여객기가 비상 착륙하는 과정에서 7명이 다쳤습니다.

속도와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난기류는 모든 항공기의 경계 대상입니다.

별도로 통계를 작성하는 미국에선 15년간 발생한 항공기 사고의 1/3 이상이 난기류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난기류 사고가 중대한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어, 주요 항공사에선 1997년에 사망 사례가 보고된 정도였습니다.

중상자 대부분도 업무 때문에 안전벨트를 맬 수 없는 승무원들이었습니다.

이번 사고에서도 안전벨트의 중요성이 확인됐습니다.

[싱가포르 항공 여객기 승객 : (영화를 보고 있을 때) 안전벨트 착용 표지판이 켜졌고, 다행히 이런 일에 부지런한 편이라 재빨리 착용했습니다.]

난기류 대부분은 강력한 폭풍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번에 여객기가 통과한 미얀마 부근에서도 폭풍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 위험한 종류의 난기류는 대기 상층에서 시속 200km의 속도로 흐르는 제트기류 경계에서 일어납니다.

[래리 콘먼 /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 : (이런 난기류는)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예측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어느 고도에서 발생할지도 알 수 없습니다.]

아직은 가설 수준이지만, 기후 위기의 영향으로 난기류 발생이 늘어나고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래리 콘먼 /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 : 더 많은 가열이 있으면 더 많은 대류가 발생하고, 대기압이 변하면 더 많은 제트기류의 움직임이 발생합니다.]

일부 전문가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근거로 앞으로 수십 년간 난기류가 세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YTN 유투권입니다.

영상편집ㅣ임현철

화면제공ㅣNOAA, TMX

자막뉴스ㅣ서미량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