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embering the Pony, the first family car in Korea (KOR)

2024. 5. 23. 09:32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 Ulsan Museum is hosting “The First National Car, Pony-themed Exhibition” until Sept. 20 to commemorate the car’s 50th anniversary.

WI SUNG-WOOKThe author is the Busan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In December 1975, as a Pony passed the final inspection line at the plant and came out on a conveyor belt, Hyundai Motor President Chung Se-yung and 50 developers and engineers hugged each other and shed tears. It was the moment of the first domestic production of a Korean model, eight years after Hyundai founder Chung Ju-yung founded Hyundai Motor in 1967. A member of the “Pony project” at the time recalled that it was the time when no one expected Korea to produce cars independently. “Even the government which promoted the export of Korean cars was surprised,” he said.

This year mark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Pony, a domestic car model unveiled in 1974. Prior to its first production in 1975, the Pony was presented at the Torino International Motor Show in October 1974, and the global automobile industry was stirred. Korea, which had relied on imports entirely, produced cars with 90 percent domestic technology. From February 1976, the Pony began to be marketed at home and abroad.

Before producing the Pony, Hyundai imported the second-generation Cortina model from Ford Europe and produced them. Hyundai imported parts, assembled and sold them. But it was faced with problems. Most of the cars at the time were commercial vehicles, or taxis, but Cortina taxis frequently broke down. Ford’s solution was to not drive them on unpaved roads.

The Cortina was designed for the paved roads of the developed world, but as only about 20 percent of Korean roads were paved at the time, the Cortina was not suitable. Ford’s solution practically meant stopping operating the model.

That’s why Hyundai Motor started developing its own car models. With the launch of the Pony, Korea became the ninth country to launch its own car model. According to the Ulsan Museum, in the contest for the name of the car, Arirang was most popular. But because of the Arirang lyrics, which say “you will get sick before even going two miles,” the name was changed to the Pony.

Once marketed, the Pony was selling like hotcakes. The car was priced at 2 million won ($1,466) at the time, when a tile-roofed house in Heukseok-dong was sold at 2.5 million to 3 million won. In the first year of production, a total of 18,000 cars were sold, with an average of 1,500 cars a month. Until it went out of production in 1985, Pony played a key role in car ownership. It was also exported to more than 60 countries in Latin America, the Middle East, Africa, Asia and Europe. The Ulsan Museum is hosting “The First National Car, Pony-themed Exhibition” until Sept. 20 to commemorate the car’s 50th anniversary. In Korea’s family month, it would be nice to see the first Korean car that has been called the “first family car.”

아리랑에서 '포니'〈조랑말〉로위성욱 부산총국장

1975년 12월 울산 현대자동차. 포니가 공장에서 마지막 검사 라인을 통과해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나오자 정세영(1928~2005) 현대자동차 사장 등 개발자와 기술자 50여명이 기쁨의 환호성을 지르며 서로 얼싸안고 눈물을 펑펑 쏟아냈다. 1967년 현대 창업자 정주영(1915~2001) 회장이 현대자동차를 설립한 뒤 8년 만에 한국 고유 모델의 첫 국산 차가 생산된 순간이다. 당시 ‘포니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대한민국이 자동차를 독자적으로 만들 것이라고 아무도 상상 못 한 시대여서 국산 자동차 수출을 추진했던 정부도 깜짝 놀랐다”고 회고했다.

올해는 1974년 세상에 그 존재를 처음 드러낸 국산 차 ‘포니’가 50돌을 맞는 해다. 75년 첫 생산에 앞서 포니는 한해 전인 74년 10월 토리노 국제모터쇼에서 시범 공개됐는데, 당시 세계 자동차 업계가 발칵 뒤집혔다. 수입에만 의존해 자동차 후진국이었던 한국이 90% 자체 기술로 자동차를 만들어서다. 이후 포니는 76년 2월부터 국내와 해외에 본격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

포니를 생산하기 전까지 현대차는 유럽(영국) 포드의 코티나 2세대 모델을 들여와 생산했다. 해외 업체 부품을 수입해 자체 조립해 판매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당시 승용차 대부분은 영업용 차, 즉 택시로 팔려나갔는데 코티나 택시에서 잦은 고장이 발생한 것이다. 이에 포드의 해결책은 황당하게도 '비포장도로 운행 자제'였다.

코티나는 선진국 도로 사정에 맞춰서 설계했는데, 당시 한국 도로 포장률은 20% 정도여서 코티나와 잘 맞지 않는다는 이유를 댔다. 사실상 자동차 운행을 중단하라는 해결책을 내놓은 셈이다.

이런 이유 등으로 현대차는 독자적인 고유 모델 개발에 나섰다. 포니 출시로 당시 한국은 8개 자동차 공업국에 이어 9번째 자동차 고유 모델 출시 국가가 됐다. 울산박물관 관계자는 “당시 차 이름을 공모한 결과 ‘아리랑’이 많았는데 ‘십 리도 못 가서 발병 난다’는 노랫말이 있어 결국 논의 끝에 ‘포니’(조랑말)로 바꿨다”고 설명했다.

우여곡절 끝에 세상에 나온 포니는 불티나게 팔렸다. 가격은 200만 원대로 당시 서울 흑석동 기와집(82.6㎡, 250만~350만 원) 한 채와 맞먹었는데도 그랬다. 생산 첫해 매월 1500대씩 연간 1만8000여 대를 팔았다. 1985년 단종되기까지 한국 ‘마이카’ 시대를 이끈 핵심 주역이었다. 포니는 중남미·중동·아프리카·아시아·유럽 등 60여 개국에 수출되며 ‘수출 효자’ 노릇도 했다. 울산박물관이 포니 출시 50돌을 기념해 오는 9월 22일까지 ‘첫 번째 국민차, 포니 테마 전시회’를 한다고 한다. 가정의 달 ‘우리 집 첫 번째 차’로 불리던 대한민국 첫 국산 차를 한 번쯤 찾아봐도 좋겠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