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62%가 이미 추진중…디지털 대전환의 시대 온다”

2024. 5. 23. 09: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DX(디지털 대전환)는 세상을 빠르게 변화시키며, 더이상 외면하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김정인(사진) 하이퍼라운지 창업주 겸 대표(SKC 사외이사 미래전략위원장)가 23일 열린 제270회 경총포럼에서 발표자로 나서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구했다.

김 대표는 "DX는 거창한 남의 이야기도, 대기업들의 전유물도 아니다"라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필요한 부분에서부터 시작하면 디지털 전환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정인 하이퍼라운지 창업주
23일 경총포럼 강연자로 나서 밝혀
‘DX로의 전환 중요성’ 거듭 강조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디지털 전환 추구해야”
김정인 하이퍼라운지 창업주가 23일 경총포럼에 연사로 나선 모습. [경총 제공]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DX(디지털 대전환)는 세상을 빠르게 변화시키며, 더이상 외면하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김정인(사진) 하이퍼라운지 창업주 겸 대표(SKC 사외이사 미래전략위원장)가 23일 열린 제270회 경총포럼에서 발표자로 나서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구했다. 김 대표는 “DX는 거창한 남의 이야기도, 대기업들의 전유물도 아니다”라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필요한 부분에서부터 시작하면 디지털 전환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지난해 7월 내놓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 및 실태조사 분석’ 자료에 따르면 대기업의 경우 응답 기업의 68.0%가 디지털 전환을 추진(일부추진-적극추진)하고 있지만 중소·중견기업의 추진은 31.7%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난 데 기인한 것이다.

이날 김 대표의 발표는 ‘기업의 혁신전략, DX에서 찾아라’를 큰 주제 진행됐다. 그는 ▷DX는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중소·중견기업의 DX 소개 ▷DX에 따른 조직문화의 변화를 소개하는 방식을 택했다.

우선 ‘DX는 무엇인지’ 부분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 BMW와 테슬라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 또 SK텔레콤과 KT, LG U+ 등 통신업체, 배달의 민족, 구글·아마존 등 일반 IT 기업들의 DX 적용 사례를 통한 분석이 이뤄졌다.

자동차 분야에서 DX는 무선업데이트(OTA)와 자동차 기능 구독요금제 등 서비스를 통해 전개되고 있다. 기계식 장치를 통해 가동됐던 자동차가 전동화되는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하는 추세다.

덕분에 운전자는 서비스센터 방문 없이도 무선 OS 업데이트로 수월하게 차량을 관리할 수 있고, 일부 기능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한 ‘구독 모델’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면서 추가적인 수익 창출로도 이뤄지고 있다.

통신업계에서 DX는 주로 CS(고객서비스) 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콜센터 인력 투입을 효율화한 사례가, IT기업에서는 전문가 기반의 각종 툴 표준화에 힘입어 서비스개발과 운영 혁신 속도 극대화에 성공한 사례가 소개됐다.

김 대표는 이에 “규모가 큰 기업을 중심으로는 이런 전환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데, 규모가 작은 기업들에서는 신기술 도입을 주저하는 경우가 많다”라면서 “하지만 DX는 앞으로 미래를 위해 반드시 나아가야 할 길이므로 실용적이고 간단한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DX는 기술적인 시스템이 아닌, ‘경영 방식’의 일환인 만큼 명확한 경영 목표를 세우고 디지털을 활용한 툴(도구)을 도입하고 연관 데이터를 활용하면서 DX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 대표는 급변하는 젊은 세대의 ‘자율적 업무환경’이 DX 도입이 필요한 또 다른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고 봤다. 그는 “기존 X세대(1970~80년대생), M세대(1981~1996년생)보다 Z세대(1997년생 이후)는 비교적 자아를 실현하는 데 대한 관심이 크다”면서 “오픈형·자율형 업무환경으로 조직 문화가 점차 변화해 가면서 DX의 중요성도 날로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경총포럼은 각계의 전문가를 초청해 우리 기업들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소개하는 자리다. 이날 포럼에는 손경식 경총 회장과 경총 회원사 소속 대표자들이 직접 자리했다.

김정인 하이퍼라운지 창업주가 23일 경총포럼에 연사로 나선 모습. [경총 제공]

zzz@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