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 기술로 재현한 조선 왕실의 큰 잔치…'조선의 희비애락' 展

김예나 2024. 5. 23. 09: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 헌종(재위 1834∼1849)이 왕실의 어르신을 위해 성대하게 연 잔치가 디지털 기술로 되살아난다.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진흥원, 수원화성박물관과 함께 23일부터 경기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조선의 희비애락, 한눈에 보다' 기획전을 선보인다.

나라에서 여는 잔치를 뜻하는 '연향'(燕享) 부분에서는 1848년 3월 창경궁의 통명전에서 열린 행사를 기록한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의 한 장면을 만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궤 기록, 디지털 기술로 생생하게…수원화성박물관서 선보여
가례(연향) 콘텐츠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조선 헌종(재위 1834∼1849)이 왕실의 어르신을 위해 성대하게 연 잔치가 디지털 기술로 되살아난다.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진흥원, 수원화성박물관과 함께 23일부터 경기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조선의 희비애락, 한눈에 보다' 기획전을 선보인다.

기록문화의 정수로 여겨지는 의궤(儀軌)에 정보통신기술(ICT)을 더한 전시다.

의궤는 국가나 왕실의 중요한 행사가 끝난 후 전 과정을 정리해 책으로 엮은 기록물로, 2007년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됐다.

길례(종묘제례) 콘텐츠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시에서는 가례(家禮)·길례(吉禮)·흉례(凶禮) 등 조선시대 주요 의례를 소개한다.

나라에서 여는 잔치를 뜻하는 '연향'(燕享) 부분에서는 1848년 3월 창경궁의 통명전에서 열린 행사를 기록한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의 한 장면을 만날 수 있다.

헌종은 할머니인 순원왕후의 육순(六旬·60세를 뜻함)과 어머니인 신정왕후의 망오(望五·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41세를 이름)를 축하하고자 성대한 잔치를 열었다.

왕실 여인들이 참여하는 내진찬, 밤에 열리는 야진찬 모습을 증강현실(AR)로 구현했다.

정조(재위 1776∼1800)가 1795년 수원화성에서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등 여러 행사를 치른 뒤 남긴 '화성행행도'(華城行幸圖) 8폭 병풍 등 관련 유물도 함께 전시한다.

흉례(정조 국장) 콘텐츠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나라에서 지내 온 제사의 모든 예절을 이르는 '길례' 부분에서는 1706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종묘의궤'(宗廟儀軌)를 만날 수 있다.

종묘에서 열리는 제례는 국가 의례 중에서도 가장 격이 높고 규모가 큰 행사로, 관람객들은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보면서 장엄한 의례 절차와 음악도 함께 경험할 수 있다.

정조의 국장 절차를 기록한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속 수많은 사람과 각종 의장도 디지털 기술로 되살려 생생하게 보여준다.

전시는 7월 28일까지.

전시 포스터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