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국서 인종차별·정체성 혼란 극복…'희망의 상징' 韓 입양인들

성도현 2024. 5. 23. 08: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서 주목…입양인단체서 활동하고 뿌리 찾기 나서
기념 촬영하는 '2024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 참가자들 [재외동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한국전쟁 이후 많은 전쟁고아와 다문화가정 자녀가 발생하자 정부는 1954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의 하나로 해외 입양 사업을 시작했고, 어느덧 70년이 됐다.

2022년까지 해외로 입양된 우리나라 아동의 수는 16만8천427명이지만, 통계에서 누락된 인원을 합치면 20만명을 넘는다는 게 입양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20여만명의 해외입양인은 태어나자마자 영문도 모르고 낯선 타국으로 건너가 인종 차별을 겪고, 커가면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기도 했다. 그런 상황 속에서도 꿋꿋하게 삶을 살아내면서 희망의 상징이 된 입양인들이 많다.

23일 입양기관 등에 따르면 재외동포청이 21∼24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서울호텔에서 개최하는 '2024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를 계기로 한인 입양인들의 스토리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미국과 스웨덴, 캐나다, 노르웨이 등으로 건너간 입양인들의 성공 사례는 종종 언론 등에 소개된다. 이러한 사연들은 어떤 입양인에게는 큰 위로가 되고, 누군가에게는 모국 방문을 결심하게 하는 등 뿌리 찾기에 나서는 동기가 된다.

서울의 한 판자촌에서 발견돼 프랑스로 입양된 플뢰르 펠르랭 코렐리아 캐피탈 대표.

그는 프랑스 중소기업·디지털 담당 장관, 문화부 장관 등을 지냈고, 2016년 공직에서 물러난 뒤 사업가로 변신했다. 2022년에는 영예로운 삶을 산 사람에게 주어지는 프랑스 최고 훈장인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2022년 10월 준장으로 승진한 마이클 시글 미국 육군 병참학교 교장 겸 병참 장군은 한국에서 입양된 미국인이다. 당시 세 번째로 별을 단 한국계 미국인으로 알려지면서 아시아계 미국인들 사이에서 희망으로 떠올랐다.

어릴 때 미국으로 입양돼 요리사로 성공한 한인 크리스틴 키시는 지난해 미국의 인기 요리 프로그램 '톱 셰프' 시즌 21의 진행자로 발탁됐다.

이 밖에도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 수석연구원 출신 스티브 모리슨 한국입양홍보회장, 캘리포니아주 정부가 인정하는 계관시인에 한인 최초로 지명된 헤릭 리 프레즈노 시티대 교수, 한인 최초로 매사추세츠주 하원의원을 지낸 마리아 로빈슨,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코리아 단일팀의 수비수로 활약한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박윤정 선수 등이 있다.

베이비박스 [연합뉴스TV 제공]

입양인이라는 정체성이 더는 부끄러운 과거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이들은 한국뿌리협회(프랑스), 한국독일입양인협회(KADeV), 코리아 클루벤(덴마크) 등 세계한인입양인협회(IKAA) 소속 입양인단체에서 활발하게 활동한다.

정기적으로 모임을 열어 입양인과 그 가족을 연결하고, 국제 리더십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입양인 커뮤니티의 성장을 돕는 데 힘쓰고 있다.

일부 입양인은 직접 모국을 방문해 입양기관에 입양 당시 관련 서류를 요청하고, 자신이 어릴 적 머물렀던 보육원 등을 찾아 뿌리 찾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는 작은 정보라도 얻고자 한다.

정부가 2020년부터 34개 재외공관을 통해 무연고 해외 입양 한인의 유전자를 채취한 뒤 한국 실종자 가족과 대조하는 유전자 검사제도를 이용하는 입양인들도 늘고 있다. 이 제도로 친가족을 찾은 사례는 5건이다.

지난해 9월 이후 현재까지 통계만 보면 13개 재외공관에서 29건의 유전자 검사가 이뤄졌다.

입양동포에게 한국 발전상 알리기 소개하는 이기철 청장 지난 21일 '2024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 개막식에서 참가자들에게 재외동포청의 한국 발전상 알리기 사업의 중요성을 알리는 이기철 청장. [재외동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런 상황에서 재외동포와 대한민국의 공동 발전을 통해 글로벌 중추 국가 실현에 기여한다는 목표를 내건 재외동포청은 각국 입양 동포 및 단체 간 연결을 강화해 한국과 입양 동포사회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이번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에는 14명의 입양동포단체장이 참가했다. 이들은 지역별 그룹 토의에서 해외입양인 간 교류 협력 활성화, 입양 동포 자녀의 모국 연결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들은 또 외국 교과서에 한국의 정치 경제 발전상을 수록하는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이행 방안 등을 논의한 후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결의문을 발표할 계획이다.

재외동포청 관계자는 "국격에 걸맞은 동포 보호 및 지원 강화 차원에서 해외입양인 네트워크 구축 및 권익 신장 지원 사업을 시행할 것"이라며 "입양 동포 및 관련 부처 등의 의견을 수렴해 연구 과제를 발굴하고 연구용역을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raphael@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