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평균임금, OECD 평균의 90%…대·중소기업 임금 격차는 두 배

2024. 5. 23. 07: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임금이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90%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과 여성의 임금 격차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컸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두 배를 웃돌았다.

23일 OECD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4만8922달러로 조사됐다.

지난 2022년 기준 한국 평균임금은 OECD 38개 회원국 중 19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만9000달러 수준...남녀 격차는 OECD 1위
"남녀,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완화 정책에 역량 집중해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역 광장 인근 한 빌딩으로 직장인들이 오가고 있다. 성남=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임금이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90%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과 여성의 임금 격차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컸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두 배를 웃돌았다.

23일 OECD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4만8922달러로 조사됐다.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평균의 91.6%에 그친다. 이 수치는 2019년 89.7%에서 2020년 90.4%로 90% 선을 처음 돌파했고 2021년 90.6%에 이어 2022년 더 높아졌다.

지난 2022년 수치는 30년 전인 1992년(63.8%)의 1.4배다.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1992년 2만6000달러 수준에서 2011년(4만252달러) 처음 4만달러 선을 넘었다. 다만 우리나라 실질임금은 윤석열 정부 첫해인 2022년 사상 처음 0.2% 하락했고, 2023년에는 1.1% 떨어진 바 있다. 이 탓에 2023년 평균임금은 2022년 대비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2년 기준 한국 평균임금은 OECD 38개 회원국 중 19위다.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튀르키예는 2020∼2021년 수치가 있지만 한국보다 낮다. 아이슬란드가 7만9473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룩셈부르크(7만8310달러), 미국(7만7463달러), 스위스(7만2993달러), 벨기에(6만4848달러), 덴마크(6만4127) 등 순이었다.

반면 멕시코는 1만6685달러로 가장 적고 그리스(2만5979달러), 슬로바키아(2만6263달러) 등도 낮은 편이었다.

일본은 4만1509달러로 25위 수준이다. 한국 평균임금이 일본의 1.2배였다. 근로자 평균임금은 한국이 2014년 4만746달러로 일본(4만257달러)을 처음 역전했다. 이후 격차가 계속 벌어져 2022년 한국은 4만9000달러에 육박하고 일본은 4만2000달러를 밑돌았다. 30년 전인 1992년에는 일본이 4만434달러로 한국(2만6214달러)의 1.5배였다.

그러나 성별이나 기업 규모, 근로 방식에 따라 격차가 극심한 상황이다. 한국 성별 임금 격차는 2022년 기준 31.2%로 OECD 회원국 중 1위다. 일본은 21.3%, 미국은 17.0% 정도다.

통계청이 지난 2월 발표한 '2022년 임금 근로 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2022년 12월 기준 대기업 근로자 평균소득은 월 591만원(세전 기준)으로 중소기업(286만원)의 2.1배였다. 또, 고용노동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은 2만4799원으로 비정규직(1만7586원)의 1.4배였다.

전문가들은 사회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남성과 여성,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 등을 완화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성별, 기업 규모별 격차를 완화하는 정책에 더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중소기업 생산성을 제고하고 양질의 여성인력이 20대에 높은 취업률을 보이다가 30대에 확 꺾이는 경력단절을 방지해 여성 인력 활용도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fact0514@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