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줄었는데 오르는 고용률…청년 인구 감소의 ‘역설’

김윤나영 기자 2024. 5. 23. 06: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29세 일자리 9만7000개 감소
공공 분야 줄고 라이더 등에 쏠려
청년 인구, 1년 새 23만4000명↓

청년층(15~29세)의 고용률과 실업률이 동시에 오르고 있다. 청년 취업자 수는 줄었지만 청년 고용률은 오히려 올랐다. 취업자 수 감소폭보다 더 가파르게 청년 인구가 줄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을 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일자리는 2074만9000개로 1년 전보다 29만3000개 늘어난 반면 20대 이하 청년층 일자리는 줄었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9만7000개 감소한 312만6000개를 기록하면서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많이 줄었다. 20대 일자리는 2022년 4분기 이후 5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감소폭도 2022년 4분기 3만6000개에서 지난해 4분기 9만7000개로 커졌다. 반면 60대 이상 일자리는 24만9000개 늘어 증가세를 주도했다. 50대와 30대는 각각 11만3000개, 5만2000개씩 늘었다. 40대 일자리는 같은 기간 2만4000개 줄었다.

청년 일자리의 질도 떨어지고 있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10만7000개), 숙박·음식(3만9000개), 운수·창고(3만8000개) 분야 순으로 일자리가 늘어났다. 택배·배달 라이더 등의 일자리가 증가한 반면 공공 분야 등 양질의 청년 일자리는 감소했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도소매(-2만개), 정보통신(-1만4000개), 공공행정(-1만3000개) 등에서 줄었다.

청년층의 고용률과 실업률은 동반 상승했다. 통계청의 4월 고용동향 자료를 보면, 청년 고용률은 46.2%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청년 실업률은 6.8%로, 이 역시 0.4%포인트 오른 수치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지난 17일 “청년층 고용률이 2개월 만에 상승 전환하는 등 대부분 연령대에서 고용률이 상승했다”며 “주 취업연령대인 20대 후반은 37개월 연속 고용률이 올라 4월 기준 역대 최고, 실업률도 큰 폭 하락하며 4월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청년 고용률 지표가 나아진 배경에는 청년 인구 감소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 청년층 취업자는 1년 전보다 8만9000명 감소했지만, 모수가 되는 전체 청년 인구가 지난해보다 23만4000명 줄면서 청년 고용률은 오히려 상승했다. 줄어든 청년 취업자 수보다 더 많은 청년 인구가 해마다 줄고 있는 것이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