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말아먹은 애" "尹이 당 점령"…잇단 설화 홍준표 당내 역풍

이비슬 기자 2024. 5. 23. 0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향한 비판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차기 대권 경쟁자인 한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가 가시권에 들어오자 적극적 견제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폐세자→배신자→지옥 몰고간 애"…연일 한동훈 때리기
'존재감 과시' '내부 총질' 줄타기…"당 나가라" 비판 고조
홍준표 대구시장이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참배 후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4.5.17/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서울=뉴스1) 이비슬 기자 = 홍준표 대구시장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향한 비판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차기 대권 경쟁자인 한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가 가시권에 들어오자 적극적 견제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윤석열 대통령을 힐난하는 발언까지 나오며 존재감 과시에 나서자 국민의힘 내에서도 '선을 넘었다'는 비판이 커지며 역풍 조짐을 보인다.

23일 정치권에 따르면 홍 시장은 총선 직후부터 한 전 위원장에게 연일 참패 책임을 물으며 집중 공세를 퍼붓고 있다.

홍 시장은 지난 21일 자신의 온라인 소통 창구인 '청년의꿈'에 "또다시 초짜 당대표가 되면 이 당은 가망이 없다. 그러면 나도 거취를 결정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홍 시장 발언은 한 전 위원장이 오는 7월로 예상되는 국민의힘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전망과 함께, '한동훈 체제'에선 탈당할 수도 있다는 취지로 해석돼 논란을 일으켰다.

홍 시장은 같은 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그나마 마지막 한 가닥 기대를 걸었는데 우리를 지옥으로 몰고 간 애 앞에서 모두 굽실거리며 떠받드는 것을 보고 더더욱 배알도 없는 당이라고 느꼈다. 총선을 말아먹은 애한테 또 기웃거리는 당내 일부 세력을 보고 이 당은 가망이 없다고 봤다"고 한 전 위원장을 직격했다.

그러면서 "박근혜 탄핵 때 없어졌어야 할 당을 살려 놓으니 지금도 정신 못 차리고 허우적거린다"며 "더 이상 자신이 없으면 당을 해체하고 다시 시작하는 게 좋지 않나"라고도 썼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3년 바르게살기운동 전국회원대회에서 홍준표 대구시장과 대화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3.11.7/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홍 시장이 한 전 위원장 비판과 동시에 탈당 및 당 해체를 시사하는 발언을 쏟아내자, 당내에선 '내부 총질' 자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홍 시장님, 더 빨리 나가셔도 좋다"면서 "아무도 안 따라 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도 한 유튜브 채널 인터뷰에 출연해 "(홍 시장이) 당에 분란이 오는 말씀을 좀 줄여 주셨으면 좋겠다"고 했다.

홍 시장은 총선 이후부터 줄곧 한 전 위원장에게 선거 패배 책임을 물으며 '문재인 사냥개' '윤석열 정권 폐세자' '배신자'라고 맹공을 퍼부었다. 차기 대권주자로 꼽히는 홍 시장에게 한 전 위원장은 최대 경쟁자로 거론되고 있어 정적 견제라는 해석이 나왔다.

홍 시장은 총선 이후 윤 대통령과 비공개 만찬을 한 것으로도 알려져 최근 발언이 '윤심'을 반영한 행보라는 분석에 힘이 실렸다. 그러나 최근 들어 윤 대통령을 겨냥한 표현에서도 미묘한 차이가 읽히면서 그의 행보가 여론몰이를 통한 존재감 과시의 '자기 정치'라는 해석이 많다.

홍 시장은 총선 이후 쓴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후보에게 당이 한번 점령당했으면 됐지", "자기 여자 하나 보호 못 하는 사람이 5000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겠느냐"와 같은 날선 표현으로 윤 대통령과 차별화에 나서기도 했다.

탈당 시사 발언으로 파장이 커지자 홍 시장은 자신의 말이 탈당을 의미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으며 진화에 나섰다. 그는 "지난 30여 년간 이 당을 지키고 살려온 뿌리인데 탈당 운운은 가당치 않다"며 "내가 탈당할 때는 정계 은퇴할 때나 하는 것"이라고 썼다. 한 전 위원장 비판에 방점을 뒀다는 설명이다.

김웅 의원은 홍 시장의 해명 뒤 페이스북에 지난 2020년 홍 시장이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을 탈당하고 대구에 무소속 출마를 결심했을 당시 보도 내용을 첨부하며 "누가 들으면 30년간 당 지킨 줄 알겠다"며 "세월이 흘렀고 세상도 변했다"고 꼬집었다.

b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