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식 저평가, 장투가 답"…40억원 일궈낸 회사원의 믿음

정한결 기자 2024. 5. 23.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싱글파이어'는 경제적 자유와 행복한 일상을 위한 꿀정보를 제공하는 유튜브 경제·재테크·라이프스타일 채널입니다.

"미국 주식이든 한국 주식이든 본질은 같아요. 주가가 일시적으로 하락해도 기업의 실적과 주주 환원이 꾸준하다면 주가가 그 기업의 가치에 맞게 상승합니다."

그는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크고 주주환원 정책을 갖췄음에도 저평가된 주식을 사 모은다"며 "몇 년 지나다 보면 주식이 크게 상승할 때가 오는데, 그때 교체 매매를 진행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싱글파이어'는 경제적 자유와 행복한 일상을 위한 꿀정보를 제공하는 유튜브 경제·재테크·라이프스타일 채널입니다.

"미국 주식이든 한국 주식이든 본질은 같아요. 주가가 일시적으로 하락해도 기업의 실적과 주주 환원이 꾸준하다면 주가가 그 기업의 가치에 맞게 상승합니다."

국내 배당주 투자로 40억원을 일군 유튜버 '오일전문가'(44)의 말이다. 그는 쿠웨이트에서 직장을 다니며 지난해 배당소득으로만 월평균 1200만원의 현금흐름을 창출했다. 올해는 2000만원으로 뛰었다. 미국 주식이 활황이지만 그의 주식 자산의 75%가 한국 주식이다. 나머지 25%에는 미국뿐만 아니라 캐나다, 브라질 등의 주식도 섞였다. 오일전문가는 "배당금을 받으며 주식 수량을 늘리고 인내하다 보면 언젠가는 상승한다"며 "실제로 저는 그렇게 투자를 해왔고 굉장히 좋은 성과를 냈다"고 강조했다.

오일전문가는 오히려 한국 주식이 저평가됐고, 기회가 더 많다고 주장한다. 실적과 배당금이 우상향함에도 주가는 그대로인 주식이 많다는 설명이다. 그는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크고 주주환원 정책을 갖췄음에도 저평가된 주식을 사 모은다"며 "몇 년 지나다 보면 주식이 크게 상승할 때가 오는데, 그때 교체 매매를 진행한다"고 말했다. 그 결과 현대자동차, 포스코홀딩스, 삼성생명, 한국타이어 등 다양한 종목에서 수익을 냈다. 받는 배당금은 복리 효과를 보기 위해 전부 재투자에 활용하며, 직장 월급도 여유 자금이 생기면 주식 추가 매수에 쓴다.

오일전문가는 단기보다는 장기 투자를 권유한다. 그 역시 다른 수많은 국내 주식 투자자들처럼 10여년간 단기 매매만 했었는데 수익을 내지 못했다. 그는 "그때까지 돈은 벌었지만 성과가 좋지는 못했다"며 "장기 투자를 시작하게 되면서 이제 자산이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실제로 그는 지금은 40억원 자산가지만 첫 장기투자 당시 종잣돈은 크지 않았다. 모아둔 3000만원에 아파트 담보대출로 마련한 1억5000만원을 더해 2014년 당시 우하향 곡선을 크게 그리던 S-OIL에 투자했다. 당시 3만원대까지 떨어졌던 주식은 4년 만에 10만원대를 넘겼고, 오일전문가는 고점에서 매도해 약 5억원의 수익을 냈다.

정유사에서 근무하는 그는 닉네임대로 석유 산업 반등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었기에 주가가 하락해도 투자를 이어갈 수 있었다고 말한다. 오일전문가는 "원유 없이 실생활을 살 수 없다"며 "항공기 연료부터 옷, 타이어, 자동차 내외장재 및 각종 플라스틱 등이 원유로부터 나오는데, 기업의 주가는 내려가도 결국 다시 상승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엑손모빌이 주당 30달러 수준으로 떨어졌을 때도 매수에 나섰다. 현재 엑손모빌은 110달러를 넘기고 있다.

오일전문가는 위기에도 투자를 이어가라고 조언한다. 실제로 그의 자산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시기는 코로나 시기다. 기존 투자를 통해 일군 10억원어치의 주식 가치가 반토막 났지만, 오히려 대출을 늘려 추가 매수에 나섰다. 그는 "IMF 외환위기나 2008년 금융위기 등 크고 작은 경제 위기 때마다 장은 크게 하락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반등했다"며 "그런 경험이 있기에 자산이 반토막 났어도 담보대출을 통해 주식을 더 살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이 기사는 2030 세대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 정보를 제공하는 유튜브 채널 '싱글파이어'에 업로드된 영상을 바탕으로 작성됐습니다. 오일전문가가 설명하는 더 구체적인 노하우는 영상을 참고해 주세요. 오는 28일 2편 영상이 공개될 예정입니다. '싱글파이어'에 오시면 더 많은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정한결 기자 hanj@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