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금 열심히 받아봐야 노후엔 건보료로 다 날아간다는데

박유연 기자 2024. 5. 23. 06: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테크 숟가락]

23일 오전 6시 조선일보 경제 유튜브 채널 ‘조선일보 머니’와 조선닷컴을 통해 재테크 기초 강의 ‘재테크 숟가락’이 공개됐다. 재테크 숟가락은 초보 투자자 눈높이에 맞춰 경제·재테크 기초 지식을 ‘숟가락으로 떠먹여 주듯’ 알기 쉽게 설명하고 실제 투자까지 함께 해보는 시간이다. 진행을 맡은 김나영 양정중학교 교사는 2009년부터 교내 경제 동아리 ‘실험경제반’을 운영하고 있다. 어려운 금융경제 지식을 아이들 눈높이에서 역할극, 사례 등으로 쉽게 풀어서 설명하며 이해를 돕는다.

재테크숟가락에선 지난 9일 공개된 영상을 시작으로 3회에 걸쳐 ‘배당주 투자’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1부에선 ‘배당’이 무엇인지 기초부터 설명하고 달라진 배당 일정도 정리했다. 2부에선 ‘투자할만한 배당주’에 대해 알아봤다.

3부에선 배당주 투자 유의할 점에 대해 소개한다.

배당주 투자를 할 때 배당소득으로 높아지는 세금과 건강보험료를 주의해야 한다. 한 해 배당소득이 2000만원을 넘으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기 때문이다. 절세 혜택은 사라지고, 보험료가 면제되는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에서도 탈락한다.

김나영 양정중 교사가 배당주 투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재테크숟가락 캡처

이자와 배당금 등을 합한 금융소득은 2000만원까지는 세율 14%(지방세 별도)로 원천징수한다. 2000만원이 넘는 초과분은 종합소득세로 납부해야 한다. 종합소득세는 누진세율이라서 금액이 클수록 내야 하는 세금이 급격히 커진다. 김 교사는 “다만 다른 소득 없이 금융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연간 7760만원까지는 추가 세금이 없다”고 했다. 금융소득만 7760만원일 때, 내야 하는 세금을 계산하면 1086만4000원이다. 계산식은 이렇다.

[금융소득만 7760만원일 때, 내야 하는 세금]

=2000만원*14%+5760만원*24%-576만원(누진공제)=280만원+806만4000원=1086만4000원

그런데 이 금액은 7760만원에 14%를 곱한 금액(1086만4000원)과 같다. 이 때문에 추가 세금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

다른 소득과 함께 금융소득이 있다면 세금 차이가 벌어진다. 가령 금융소득만 8000만원인 경우 총 부담하는 세금은 약 1258만원이다. 그런데 근로·사업 소득이 5000만원, 금융소득이 3000만원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과세 대상이 된 금융소득은 1000만원이다. 이때 종합소득 과세가 되지 않았다면 140만원(1000만원*14%) 내고 끝났을텐데, 종합소득 과세 대상이 되면서 24% 세율구간에 들어가 240만원을 내게 된다.

이자와 배당금 등을 합한 금융소득은 2000만원까지는 세율 14%(지방세 별도)로 원천징수한다. /재테크숟가락 캡처

김 교사는 영상에서 금융소득 종합과세자가 되는 것을 최대한 피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소개했다. 금융소득으로 잡히지 않는 계좌를 활용하거나, 부부가 나눠서 투자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런 내용을 포함해 금융소득 2000만원이 넘을 때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변하는지 보다 자세한 내용은 조선닷컴과 유튜브 채널 조선일보 머니에서 확인 가능하다.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서 재테크 숟가락을 영상으로 보시려면 다음 링크를 복사해서 접속해 보세요. https://youtu.be/dEG7Rq8LF5A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