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한테 인사해" 애엄마들이 부르는 호칭, 저만 불편한가요?

이소은 기자 2024. 5. 23. 0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모르는 아이의 엄마로부터 '이모'라는 호칭을 듣는 것이 불편하다는 한 여성의 사연에 누리꾼들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그는 "낯선 아이 엄마로부터 자신이 '이모' 소리를 듣게 되면 '아이에게 친근하고, 가정일에 가까운 여성'의 이미지가 되는 것 같아서 불쾌한 감정이 든다"고 했다.

한 누리꾼은 "우리도 초등학생 시절에 '군인 아저씨'라고 부르지 않았냐. 아이한테 20살 이상 차이 나면 이모, 삼촌 호칭으로 불리는 건 자연스러운 거다"라는 댓글을 남겼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르는 아이의 엄마로부터 '이모'라는 호칭을 듣는 것이 불편하다는 한 여성의 사연에 누리꾼들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이 일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모르는 아이의 엄마로부터 '이모'라는 호칭을 듣는 것이 불편하다는 한 여성의 사연에 누리꾼들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지난 21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아기 엄마들 외간 여자한테 이모라고 좀 안 했으면"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을 쓴 A씨는 "일반 여성들을 부르는 호칭이 참 많은데 언제부터인가 애매한 연령대의 여성들을 통칭해 '이모'라고 부르곤 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집안일 해주시는 이모님, 아이 봐주시는 이모님 등등 가정일에 가깝고 아이에게 친근하고 수월해 보이는 젊은 여성도 이모라는 호칭으로 부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A씨는 "특히 낯선 아이 엄마로부터 '이모'라고 불릴 때 왜 이렇게 불쾌한지 생각해 봤더니 우리 사회 속 '이모'에 대한 취급이 좋지 않다 보니 예민하게 느껴지는 거였다"고 밝혔다.

그는 "낯선 아이 엄마로부터 자신이 '이모' 소리를 듣게 되면 '아이에게 친근하고, 가정일에 가까운 여성'의 이미지가 되는 것 같아서 불쾌한 감정이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가씨'라는 호칭도 같은 의미에서 논란이 됐고, 불쾌감을 느끼는 여성들이 많았다. 물론 부르는 사람도 '술집 아가씨'를 생각하고 부르는 것은 아니겠지만, 불쾌감을 느끼는 여성들이 많다 보니 이해되는 분위기였다. '이모' 호칭 역시 듣는 이가 불쾌감을 느낀다면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사연을 본 누리꾼들의 의견도 갈렸다.

일부 누리꾼들은 "아기한테 이모가 아닌 언니라고 불리는 게 더 양심 찔린다" "아줌마가 아닌 것에 감사해야 한다" "20~30대를 이모, 삼촌이라고 부르는 게 뭐가 문제냐" 등의 반응을 보이며 A씨 의견에 반박했다.

반면 "이모든 아줌마든 상대가 싫어하는 행동은 안 하는 게 맞다" "모르는 아이랑 '이모'라는 호칭으로 엮이는 거 싫다" 등 A씨의 편을 드는 의견도 있었다.

한 누리꾼은 "우리도 초등학생 시절에 '군인 아저씨'라고 부르지 않았냐. 아이한테 20살 이상 차이 나면 이모, 삼촌 호칭으로 불리는 건 자연스러운 거다"라는 댓글을 남겼다.

이소은 기자 luckyss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