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사일언] ‘악착동자’가 되자

권희진 2024 조선일보 신춘문예 소설부문 당선자 2024. 5. 23. 00: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북 청도 운문사에는 귀여운 동자가 있다. 비로전 내의 천장에 달린 작은 동자상으로, 줄에 악착같이 매달려 있다고 해서 ‘악착동자’라고 부른다. 악착동자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다. 살면서 덕을 많이 쌓았던 한 보살이 가족들과 작별인사를 하느라 극락으로 향하는 ‘반야용선’에 오르지 못했는데 한참 뒤에 사공인 관세음보살이 이를 발견하곤 밧줄을 던져줬고, 죽을힘을 다해 줄에 매달려 결국 극락에 도달했다는 이야기다.

악착(齷齪)이란 말의 한자를 풀어보면 이가 꽉 맞물린 상태를 말한다고 한다. 국어사전의 뜻을 보더라도 ‘일을 해내 가는 태도가 매우 모질고 끈덕짐’ 이라고 돼 있다. 우리말 ‘억척’과 뜻이나 어감이 비슷한데 어쩐지 요즘 시대와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느낌도 든다.

한때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최소 1만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1만 시간의 법칙’ 이라는 말이 유행했다. 그 시절 ‘악착같은 노력’은 미덕이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에선 ‘노력도 재능’이라거나 ‘노오력의 배신’이라는 둥 노력의 효용과 가치에 회의적인 태도들이 생겨났다.

그렇다면 과연 재능은 유전일까, 노력일까. 모차르트도 음악가인 아버지로부터 만 2살부터 일주일에 35시간씩 교육을 받아 8살이 되던 해에 신동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음악에 천부적인 재능도 절대적인 노력이 필요했다. 유전과 노력, 두 가지 모두 작용하는 것이리라. 다만 ‘재능’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할 필요는 있다고 본다. 단순히 공부나 운동, 혹은 예술적 능력만이 아니라 일상에서 기쁨을 찾아낼 수 있는 여유, 주변을 돌아보는 이타심도 재능으로 봐줘야 하지 않을까. 이건 터무니없이 낭만만 찾는 이야기가 아니다. SNS와 같은 매체들이 발달하면서 과거에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다양한 방법으로 각자의 성공을 이루는 시대가 됐으니, 재능의 개념도 그만큼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노력하는 것.

우리는 모두 다르게 생긴 만큼 타고난 재능도 제각각이다. 그러니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는 귀여운 ‘악착동자’들이 됐으면 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