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에 ‘멸종위기’ 바다거북…70여 년 만에 산란 ‘0’

김세현 2024. 5. 22. 21: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일본 시코쿠 지역은 멸종위기종인 바다거북이 서식하는 곳 중 하나인데요.

하지만 최근 지구온난화에 무분별한 해안 개발로 개체수가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그 현장을 김세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수족관 직원들이 조심스럽게 거북이를 모래 위에 내려놓습니다.

멸종위기종인 붉은바다거북입니다.

물고기를 잡다가 혼획한 바다거북을 돌려보내는 겁니다.

일본 시코쿠 지역은 매년 바다거북이 찾아와 산란, 서식하는 곳입니다.

그 중에서도 도쿠시마 현은 가장 오래된 바다거북 관찰 기록을 갖고 있습니다.

1950년대부터 지역 학교와 학생들을 중심으로 바다거북을 관찰해왔는데, 지난해에는 혼획된 바다거북 외에는 단 한 마리도 찾지 못했습니다.

산란율도 처음으로 '0'을 기록했습니다.

[나카히가시 사토루/히와사 바다거북 박물관 초대 관장 : "바다거북이 연간 150~200마리가 산란을 위해 상륙했었는데 점점 줄어들기 시작해 결국 작년엔 최종적으로 0마리가 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구 온난화 탓에 모래사장의 온도가 올랐기 때문이라고 추정합니다.

바다거북의 알은 특히 온도에 민감한데, 주변 온도가 33도 이상이면 부화율이 급격하게 떨어져 개체수 감소로 이어집니다.

29.7도만 넘어가도 암컷으로 부화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수컷이 적어지면서 산란 자체가 줄어듭니다.

[마츠자와 요시마사/일본 바다거북협의회장·시코쿠 수족관장 : "(33도 이상에서는) 급격하게 부화율이나 탈출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일본의 모래사장만 놓고 보더라도 7~8월이 된다면 33도를 넘는 고온 때문에…."]

무분별한 해안 개발과 혼획도 바다거북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일본 전역의 바다거북 산란 건수는 10년 전 만 5천 건에서 최근 3천 건 아래까지 뚝 떨어졌습니다.

KBS 뉴스 김세현입니다.

촬영기자:김현민/그래픽:서수민/취재지원:서울대 SNU팩트체크센터/화면제공:일본 바다거북 협의회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세현 기자 (weather@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