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잊지 않고”…안동댐 찾은 바닷새 ‘쇠제비갈매기’

김지홍 2024. 5. 22. 21: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구][앵커]

쇠제비갈매기라고 들어보셨습니까?

멸종위기종으로 주로 바닷가 모래밭에 서식하는 갈매기과 새인데요.

바다가 아닌 경북 안동댐 모래섬에 12년째 찾아오고 있다고 합니다.

김지홍 기자입니다.

[리포트]

흰 이마에 검은색 정수리, 부리는 노랗고 끝이 새까맣습니다.

전체 몸 길이가 30센티미터 가량인 새들이 힘차게 날개짓합니다.

제비를 닮은 작은 갈매기, 쇠제비갈매기입니다.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매년 호주에서 만 킬로미터를 날아와 한국과 일본 등 바닷가 모래밭에 서식하는 여름 철새입니다.

그런데, 2013년부터 낙동강 최상류 안동댐의 모래섬에 둥지를 틀기 시작했습니다.

[권광순/안동호 쇠제비갈매기사랑시민본부 회원 : "(기존) 서식지가 모래도 덜 쌓이고 파도는 치고 알 하고 새끼들이 다 떠내려가니까 이제 내륙으로 분산됐다…."]

해마다 4월쯤 찾아와 석 달 남짓 머무르는데, 올해도 80여 마리가 안동댐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안동시는 원래 서식지였던 작은 섬이 댐수위 상승으로 사라지자 천8백 제곱미터 크기의 인공 모래섬 2곳을 만들었습니다.

제 뒤로, 인공 모래섬이 보입니다.

쇠제비갈매기가 이곳에 온 지 한 달 반 만에 새끼를 포함해 백20여 마리가 관찰됐습니다.

인공섬에는 수리부엉이와 수달 등 천적을 막기 위한 대피 공간과 담장도 설치됐습니다.

[박춘자/안동시 환경관리과장 : "인간과 자연의 공존 가치를 공유하고 느낄 수 있는 장으로 만들어나가겠습니다."]

안동시는 새 보금자리를 찾아온 쇠제비갈매기를 생태관광 자원으로 보호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지홍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김지홍 기자 (kjhong@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