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0만원으로 고덕 아파트 샀다"···전셋값 상승에 고개드는 '갭투자'

박윤선 기자 2024. 5. 22. 21: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1년째 이어지면서 일부 지역에서 '갭투자'에 나서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올해 1분기(1~3월·아실) 서울 내 갭투자 건수는 송파구 47건, 성동구 38건, 노원구 34건, 강동구 32건, 마포구 30건 등의 순으로 많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서울경제]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1년째 이어지면서 일부 지역에서 '갭투자'에 나서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22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전국에서 갭투자 매매가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 상위 10곳 중 7곳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이 1년째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매매가격과의 차이가 좁혀지자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으로 강남 등 서울 주요 지역에 집을 살 수 있는 갭투자가 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52주째 오름세다.

올해 1분기(1~3월·아실) 서울 내 갭투자 건수는 송파구 47건, 성동구 38건, 노원구 34건, 강동구 32건, 마포구 30건 등의 순으로 많았다. 갭투자 사례를 살펴보면 강동구 명일동 고덕주공9단지 전용 83㎡는 지난 3월 30일 10억9500만원에 집을 매매한 이후 3일 만에 10억 2500만원의 전세 계약을 맺었다. 7000만원에 집을 구매한 것이다. 마포구 망원동 스카이캐슬 50㎡(3층)는 매매가격 5억원에 전셋값 3억8000만원으로 차이가 1억2000만원이었다. 갭이 3~5억 원으로 더 크기는 하지만 강남 일대에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에 집을 사들인 갭투자 사례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수도권에는 매매가격과 전셋값이 아예 같은 곳들도 있다. 인천 서구 연희동 우성아파트 전용 84㎡(3층)는 올해 3월 2억5000만원에 매매 된 후 같은 날 전세 2억5000만원에 전세 계약을 맺었다. 매매 가격과 전셋값 차이는 0원이다. 화성 병점동 느치미마을주공2단지 전용면적 59㎡(10층)는 올해 3월 2억9800만원에 매매된 뒤 같은 달 2억6820만원에 전세 거래됐다. 가격 차는 2980만원에 불과하다. 경기 수원 영통구 매탄동 성일아파트 전용 49㎡(8층)는 2억1400만원에 매매, 1억8000만원에 전세 거래됐다. 차이는 3400만원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전셋값이 올라가면 갭투자 가능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면서 “최근 서울 입주물량도 줄어들고 있는 데다 다세대 등 빌라 수요자들이 아파트로 몰리는 영향도 있어 당분간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했다.

박윤선 기자 sepys@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