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길 위협하는 기후변화, 강력한 ‘대류운’ 늘며 난기류 급증

신방실 2024. 5. 22. 21: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번 사고의 원인인 난기류는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비, 뇌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난기류 현상이 기후변화로 인해 앞으로 더 심해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는 겁니다.

이어서 신방실 기상전문기잡니다.

[리포트]

이번 난기류는 열대 상공에서 솟구치는 강한 상승기류가 원인이었습니다.

사고 여객기는 이륙 10시간 만에 미얀마 부근에서 난기류를 만났습니다.

당시 위성 영상을 보면, 보라색으로 표시된 구름이 선명하게 나타납니다.

강한 등급의 뇌우인데, 이 영향으로 난기류가 발생했다고 항공기상청은 분석했습니다.

[원완식/한국항공대 항공교통물류학부 교수 : "이 시기 미얀마 주변은 강한 뇌우가 잘 발달하는데요. 뇌우 중심부에서는 10km 넘는 고도까지 강한 상승기류가 생기고 그 주변으로는 강한 하강 기류가 생겨서 이 지역을 통과하는 항공기는 강한 난기류를 만나게 됩니다."]

이런 현상은 앞으로 더 심해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비행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중간 강도 이상 난기류의 빈도가 이번 세기 후반까지 배 가까이 늘어날 거란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기후변화가 원인입니다.

[김정훈/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대기가 머금을 수 있는 습도량이 기후 변화로 인한 온도 증가로 인해서 증가되기 때문이고, 굉장히 강한 상승기류를 동반한 급격하게 발달하는 대류 셀(뇌우)들이 발생될 가능성들이 높아지는 것이고요."]

전문가들은 하늘길을 위협하는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난기류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한편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세현 고석훈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신방실 기자 (weezer@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