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극우, 팔 국가인정에 동예루살렘 성지 방문 '맞불'

김상훈 2024. 5. 22. 19: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럽연합(EU) 회원국인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하기로 하자 이스라엘의 극우성향 정치인이 동예루살렘 성지를 방문하며 맞불을 놨다.

이스라엘 연정 내 또 다른 극우 정치인인 베잘렐 스모트리히 재무장관은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의 팔레스타인 국가인정에 대한 '징벌적 대응'을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에게 제안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총리에 세금수입 송금 중단 등 '징별적 대응'도 제안
알아크사 사원 경내를 방문한 이타마르 벤-그비르 이스라엘 국가안보장관 [일간 하레츠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카이로=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유럽연합(EU) 회원국인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하기로 하자 이스라엘의 극우성향 정치인이 동예루살렘 성지를 방문하며 맞불을 놨다.

22일(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스라엘 우파 연정 내 대표적인 극우성향 정치인 이타마르 벤-그비르 국가안보장관은 이날 이슬람 3대 성지인 알아크사 사원 경내를 방문했다.

경찰관의 호위를 받으며 경내를 걷던 그는 영상을 통해 "노르웨이, 스페인, 아일랜드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것은 누크바(작년 10월 7일 이스라엘 공격을 주도한 하마스의 해군 특수부대)와 살인자, 학대자에게 상을 주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또 이날 저녁 공개될 하마스의 이스라엘 여성 납치 영상을 언급하면서 "오늘 밤 우리는 하마스가 왜 완전히 파괴돼야 하는지에 대한 증거를 추가로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마스를 무너뜨리기 위해서 우리는 끝까지 라파(가자지구 최남단 도시)에 가서 뿌리를 뽑아야 한다"면서 "가자지구에 대한 연료 공급을 끊고 인도적 지원도 제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그가 방문한 성지는 1967년 3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점령한 동예루살렘 구시가지에 있다. 팔레스타인은 독립 국가를 건설할 때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삼고자 한다.

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의 성지인 이곳에서는 팔레스타인 주민과 이스라엘 경찰간 충돌도 끊이지 않는다. 벤-그비르 장관은 2022년 연말 취임 이후 여러 차례 이곳을 방문해 팔레스타인을 비롯한 이슬람권의 공분을 샀다.

이스라엘 연정 내 또 다른 극우 정치인인 베잘렐 스모트리히 재무장관은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의 팔레스타인 국가인정에 대한 '징벌적 대응'을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에게 제안했다.

그가 제안한 대응에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에 대한 세금수입 송금 중단도 포함됐다. 이스라엘은 자국을 경유하는 팔레스타인 수출입품에 대해 관세를 대신 징수한 뒤 이를 PA에 일괄 송금하는데 팔레스타인과 갈등이 불거질 때마다 송금을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PA를 압박한다.

meolakim@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