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사랑노래’ 부른 민중시 거목 지다 [고인을 기리며]

김용출 2024. 5. 22. 19: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 '농무'를 비롯해 '갈대', '목계장터', '가난한 사랑노래' 등 서정적인 민중시를 창작해온 한국 시단의 원로 신경림 시인이 22일 오전 암 투병 중이던 경기 고양시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별세했다.

시인인 곽효환 한국문학번역원장은 "'창비 시선' 1번인 '농무'는 우리 시단에서 민중시의 첫 장을 연 시집으로, 민중시의 장도 열었지만 서정성과 문학적인 길도 동시에 담보한 분"이라며 "훌륭한 인품으로 후배들이 불편한 얘기를 해도 괘념치 않고 받아주신 품이 넓고 따뜻한 분이었다. 후배들에게 시로도, 인품으로도 영향을 주신 분"이라고 추모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원로 시인 신경림 별세
향년 89세… 1956년 등단
1973년 창비 첫 시집 ‘농무’
민초 슬픔 서정적으로 표현
한국 시단 민중시 첫 장 열어
시론·평론집 등도 활동 왕성

“징이 울린다 막이 내렸다/ 오동나무에 전등이 매어달린 가설무대/ 구경꾼이 돌아가고 난 텅 빈 운동장/ 우리는 분이 얼룩진 얼굴로/ 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 술을 마신다/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것이 원통하다/ 꽹과리를 앞장세워 장거리로 나서면/ 따라붙어 악을 쓰는 쪼무래기들뿐/ 처녀애들은 기름집 담벼락에 붙어 서서/ 철없이 킬킬대는구나”(‘농무’ 부문)

시 ‘농무’를 비롯해 ‘갈대’, ‘목계장터’, ‘가난한 사랑노래’ 등 서정적인 민중시를 창작해온 한국 시단의 원로 신경림 시인이 22일 오전 암 투병 중이던 경기 고양시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별세했다. 향년 89세.
‘농무’ ‘가난한 사랑노래’ 등 서정적인 민중시를 써 온 한국 문단의 원로 고 신경림 시인의 빈소가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뉴스1
1935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동국대 재학 중이던 1956년 ‘문학예술’지에 ‘갈대’, ‘묘비’ 등의 작품이 추천돼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73년 창비의 첫 시집 ‘농무’를 시작으로 반세기 넘는 동안 ‘새재’, ‘달 넘세’, ‘민요기행 1, 2’, ‘남한강’, ‘가난한 사랑노래’, ‘길’, ‘갈대’, ‘낙타’ 등 많은 시집을 발표했다. ‘한국 현대시의 이해’, ‘삶의 진실과 시적 진실’ 등의 시론·평론집도 내놨다. 만해문학상, 단재문학상, 대산문학상, 시카다상, 만해대상, 호암상 등을 수상했다.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 내 볼에 와 닿던 네 입술의 뜨거움/ 사랑한다고 사랑한다고 속삭이던 네 숨결/ 돌아서는 내 등 뒤에 터지던 네 울음./ 가난하다고 해서 왜 모르겠는가/ 가난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이 모든 것들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가난한 사랑노래’ 부문)

시인은 시편 ‘가난한 사랑노래’처럼 민초들의 슬픔과 한, 굴곡진 애환을 질박하면서도 친근한 언어로 서정적으로 노래하는 등 민중성과 서정성을 겸비한 시작 활동을 이어왔다. 충주고와 동국대 영문과를 졸업했고,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과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상임의장, 동국대 석좌교수 등을 역임했다.

시인인 곽효환 한국문학번역원장은 “‘창비 시선’ 1번인 ‘농무’는 우리 시단에서 민중시의 첫 장을 연 시집으로, 민중시의 장도 열었지만 서정성과 문학적인 길도 동시에 담보한 분”이라며 “훌륭한 인품으로 후배들이 불편한 얘기를 해도 괘념치 않고 받아주신 품이 넓고 따뜻한 분이었다. 후배들에게 시로도, 인품으로도 영향을 주신 분”이라고 추모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호실. 장례는 고인과 그의 작품이 한국 현대시와 문단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고려해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발인은 25일 오전 5시30분. 장지는 충북 충주 노은면 선산. 시인을 기억하는 한, 그의 ‘농무’는 끝나지 않을 것이다.

“보름달은 밝아 어떤 녀석은/ 꺽정이처럼 울부짖고 또 어떤 녀석은/ 서림이처럼 해해대지만 이까짓/ 산구석에 처박혀 발버둥친들 무엇하랴/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 아예 여편네에게나 맡겨 두고/ 쇠전을 거쳐 도수장 앞에 와 돌 때/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 한 다리를 들고 날라리를 불거나/ 고갯짓을 하고 어깨를 흔들거나”(‘농무’ 부문)

김용출 선임기자 kimgij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