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3개국 "팔레스타인=독립국" 인정…이스라엘 반발

정혜인 기자 2024. 5. 22. 18: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하마스(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제거 이후 가자지구 통치권에 대한 이스라엘과 미국 등 서방 간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아일랜드, 노르웨이, 스페인 등 유럽 국가 3곳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한다.

22일(현지시간) 로이터·AP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아일랜드, 스페인, 노르웨이 등은 오는 28일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 회원국인 아일랜드와 스페인은 각각 기자회견과 의회 연설을 통해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인정 발표 계획을 알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일랜드·노르웨이·스페인, 28일부터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하마스(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제거 이후 가자지구 통치권에 대한 이스라엘과 미국 등 서방 간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아일랜드, 노르웨이, 스페인 등 유럽 국가 3곳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한다. 이스라엘은 이들의 발표에 반발하며 해당 국가에 주재 중인 자국 대사에게 즉시 귀국하라고 명령했다.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에서 열린 친팔레스타인 시위 /로이터=뉴스1

22일(현지시간) 로이터·AP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아일랜드, 스페인, 노르웨이 등은 오는 28일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밝혔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마흐무드 압바스 수반은 성명을 통해 "(유럽의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인정은) 팔레스타인 국민의 자결권을 보장할 것"이라며 이스라엘과의 두 국가 해법을 위한 노력을 지지하겠다고 환영했다.

유럽연합(EU) 회원국인 아일랜드와 스페인은 각각 기자회견과 의회 연설을 통해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인정 발표 계획을 알렸다. 사이먼 해리스 아일랜드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결정은 "두 국가 해결법을 통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려는 것"이라며 "아일랜드와 팔레스타인에 역사적이고 중요한 날"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조치가 노르웨이, 스페인과 공동으로 추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이날 의회 연설에서 "우리는 이 계획(독립국가 인정)이 팔레스타인에서 잃어버린 과거와 생명을 되살릴 수는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현재와 미래에 매우 중요한 두 가지, 즉 존엄성과 희망을 줄 것이라고 믿는다"며 팔레스타인을 독립국가로 인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가 22일(현지시간) 의회 연설에서 오는 28일부터 팔레스타인을 독립국가로 인정하겠다고 발표했다. /로이터=뉴스1

AP에 따르면 산체스 총리는 지난 몇 달간 유럽과 중동 국가를 오가며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과 가자지구 휴전 지지를 호소했다. 호세 알바레스 스페인 외무장관은 이달 초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에게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한다.

산체스 총리는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이스라엘이 하마스와 전쟁에서 승리하더라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는 팔레스타인에 대한 평화 프로젝트가 없다는 것"이라며 "이번 인정은 누구에게도 불리한 것이 아니며 이것은 평화, 정의, 도덕적 일관성을 위한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EU 비회원국인 노르웨이의 요나스 가르 스퇴레 총리는 기자회견을 통해 팔레스타인을 독립국가로 인정하겠다며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인정이 없다면 중동 평화는 있을 수 없다. 노르웨이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함으로써 아랍 평화 계획을 지지한다"고 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외무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간) 노르웨이 등 유럽의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인정 발표에 즉각 반발했다. /로이터=뉴스1

이스라엘은 즉각 반발했다. 이스라엘 카츠 외무장관은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주재 이스라엘 대사에게 즉시 이스라엘로 돌아올 것을 명령했다. 그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가자지구에 억류된 이스라엘 인질을 송환하려는 노력을 방해하는 것"이라며 "또 하마스와 이란의 지하디스트(이슬람 성전주의자)들에게 보상을 줘 휴전 가능성을 낮춘다"고 지적했다.

한편 현재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국가는 139개국이다. EU(27개국)에서는 불가리아, 체코, 헝가리, 폴란드, 스웨덴 등 9개 회원국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 팔레스타인은 지난 2011년 독립국 지위 획득을 위해 유엔 정회원국 가입을 신청했지만, 미국의 반대로 무산됐다. 지난 10일 유엔 총회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팔레스타인의 정회원국 가입에 대한 긍정적 재고를 권고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미국, 이스라엘 등 9개국은 이 결의안 채택에 반대했다.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