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노르웨이·스페인 '팔 국가 인정' 공식화(종합2보)

김상훈 2024. 5. 22. 17: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는 28일 발효 예정…'두 국가 해법' 실행 움직임 확산
이스라엘은 "테러에 대한 보상" 반발…노르웨이·아일랜드 대사 소환
팔레스타인 깃발 [The Gazette/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계환 황철환 기자 = 유럽연합(EU) 회원국인 노르웨이와 아일랜드, 스페인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가자지구 전쟁 장기화로 이 지역의 인도적 재앙이 최악으로 치닫자 궁극적 해결책으로 여겨지는 '두 국가 해법'을 실행하자는 움직임이 확산하는 모양새다.

타협없는 군사작전을 강행하는 이스라엘을 압박해야 한다는 계산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22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들 3개국 총리는 이날 각자 기자회견을 통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전 경계를 기준으로 이스라엘이 동예루살렘과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키로 했다.

이 전쟁에서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동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 골란고원, 시나이반도 일부를 점령했다.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는 28일부로 팔레스타인을 정식 국가로 인정한다면서 이번 조치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수만명이 죽거나 다친 전쟁 와중에 우리는 이스라엘인과 팔레스타인 주민 모두에게 안전한 조국을 제공할 수 있는 한 가지, 즉 서로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은 살려야 한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스퇴레 총리는 테러를 저지른 것은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지 않는 하마스와 무장단체라고 선을 그으면서 "팔레스타인에는 독립 국가를 건설할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이먼 해리스 아일랜드 총리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오늘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로 발표한다"며 "우리는 각각 이 결정을 유효화하기 위해 필요한 국가별 조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더 많은 국가가 몇주 안에 이 중요한 걸음에 동참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기대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도 의회 연설을 통해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결정을 알리면서 "스페인 내각이 28일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승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밖에도 EU 회원국 가운데 슬로베니아와 몰타도 두 국가 해법이 항구적인 평화 정착에 필수라면서 팔레스타인을 국가 인정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스라엘은 즉각 강력하게 반발했다.

이스라엘 외무부는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역내 테러와 불안 확산으로 이어져 평화에 대한 어떤 전망도 위태롭게 할 것이라면서 하마스의 손아귀에 갇힌 볼모가 되지 말라고 경고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외무장관은 노르웨이와 아일랜드 주재 자국 대사에게 즉각 귀환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또 스페인 주재 대사에게도 소환 명령을 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아일랜드와 노르웨이는 오늘 팔레스타인 주민과 전세계에 테러가 보상을 받는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며 "이스라엘은 이를 조용히 넘기지 않을 것이라는 분명한 메시지를 보낸다"고 말했다.

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하마스와 이란 성전주의자들에게 보상을 줌으로써 가자지구에 억류된 이스라엘 인질의 귀환 노력을 방해하고 휴전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요르단강 서안을 통치하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와 하마스는 이들 유럽 국가의 결정을 환영했다.

193개 유엔 회원국 가운데 지금까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139개국에 달한다.

EU 내에서는 불가리아·체코·헝가리·폴란드·스웨덴 등 동부·북부 유럽 9개 회원국이 이미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

유엔 총회도 지난 10일 팔레스타인이 유엔 헌장에 따라 정회원국으로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을 충분히 갖췄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팔레스타인의 정회원국 가입에 대한 긍정적 재고를 권고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또 팔레스타인에 유엔 총회 회의나 각종 유엔 회의에 참여할 수 있는 예외적인 권한을 부여하기로 했다.

팔레스타인은 2011년에도 독립국 지위를 얻기 위해 유엔 정회원국 가입을 신청했으나 미국의 반대로 무산됐었다.

이후 팔레스타인은 이듬해인 2012년 유엔 총회에서 옵서버 단체(entity)에서 옵서버 국가(state)로 승격해 현재까지 이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kp@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