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1억+아이드림 및 행정체제 개편 ‘시민 체감 높아’ [민선8기 인천시장 시정평가 토론회]

김지혜 기자 2024. 5. 22. 17:09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매립지·내항1·8부두 재개발 등 로드맵 필요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인천YMCA 1층 아카데미실에서 열린 ‘민선8기 2년 시정성과 평가 토론회’에서 김근영 인천경실련 인천주권찾기 특별위원회 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지혜 기자

 

인천시 민선8기 공약 중 ‘1억+아이드림 사업’과 ‘2군·9구의 행정체제 개편’ 등 시민체감형 공약의 성과가 눈에 띄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반면 수도권매립지와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 등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아, 구체적인 로드맵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22일 인천YMCA 1층 아카데미실에서 열린 ‘민선8기 2년 시정성과 평가 토론회’에서 이학규 시 평가담당관은 “공항철도∼서울9호선 직결 운행사업 합의 등 해묵은 현안을 해결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1억+아이드림 사업으로 정부의 출생정책 대전환을 제안했고, 행정체제 개편으로 시민의 불편을 해소하는 계기가 됐다”고 했다.

다만, 이 자리에서 장기 과제로 설정한 수도권매립지 대체매립지 조성과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로드맵 등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이지학 서구발전협의회 상임부회장은 “2015년 4자 합의 이후 대체매립지를 만들겠다는 약속은 8년이 지났지만, 누구도 확실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수도권대체매립지 확보에는 정부가 직접 나서서 총리실 산하 전담기구를 신속히 설치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환경부와 서울시, 경기도 등이 대체매립지 조성에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도록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의 관할권을 인천시가 이관 받는 문제에 행정력을 집중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이날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주요 사업인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 추진에 대한 평가도 나왔다. 오승환 인천주니어클럽 회장은 “민선8기에서는 내항과 주변지역 개발을 연계하는 계획을 내세웠다”며 “원도심 주민들의 파편화된 요구를 정리해 원도심 재생의 모델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 밖에도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등 대규모 재원이 필요한 것들에 지역 정치권과의 협조가 절실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오 회장은 “인천시가 지역 정치권과 교류, 협력해야 한다”며 “정치권이 인천시와 연대하면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등 다양한 대규모 사업을 풀 수 있다”고 했다.

김지혜 기자 kjh@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