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 보는 겨울왕국

김슬기 기자(sblake@mk.co.kr) 2024. 5. 22. 16: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뜨거운 초여름 날씨에 찾은 갤러리 1층 입구에서 처음 인사를 건네는 작품은 중견 화가 이상원의 2011년작 '스키 리조트'다.

서울 인사동 선화랑에서 6월 18일까지 여는 '예술적 시각으로 공간을 경험하는 방식: 침잠과 역동'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풍경화가 10명이 엄선됐다.

공성훈, 국대호, 김건일, 김동욱, 송지연, 윤정선, 이만나, 이상원, 정영주, 정유미의 작품 35점이 전시된다.

2021년 타계한 공성훈의 작품도 모처럼 만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선화랑 기획전 '예술적 시각…'
공성훈·정영주 등 10명 전시
이상원의 '스키 리조트' 선화랑

뜨거운 초여름 날씨에 찾은 갤러리 1층 입구에서 처음 인사를 건네는 작품은 중견 화가 이상원의 2011년작 '스키 리조트'다. 눈이 쌓인 겨울왕국에서 시원하게 활강하는 사람들 모습이 개미처럼 작게 그려져 있다. 200호 크기의 보기만 해도 시원해지는 그림이다. 강원도 정선에서 자란 작가는 2000년대 이후 군중이 몰려드는 휴양지를 찾아가 광활한 화폭에 풍경을 담아내는 작업을 해왔다.

정유미의 2021년작 '부드러운 호흡'은 폭 5m의 대작이다. 눈앞에 펼쳐지는 바다에는 파도가 부서지고 하늘과 물과 섬이 하나처럼 어우러진다. 정유미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 풍경이 아닌 보는 이의 마음속에서 일어난 영감을 통해 공감각적 변환이 이뤄진 추상적 풍경이자 상상 풍경"이라고 설명했다.

추상화가 휩쓸고 있는 미술계에서 보기 드문 대작 풍경화를 한자리에 모은 기획전시가 열린다. 서울 인사동 선화랑에서 6월 18일까지 여는 '예술적 시각으로 공간을 경험하는 방식: 침잠과 역동'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풍경화가 10명이 엄선됐다. 공성훈, 국대호, 김건일, 김동욱, 송지연, 윤정선, 이만나, 이상원, 정영주, 정유미의 작품 35점이 전시된다.

2021년 타계한 공성훈의 작품도 모처럼 만날 수 있다. 거친 바다 속 남자의 초상을 그린 '바닷가의 남자'는 대형 캔버스 속에 원인 모를 긴장감과 불안감이 숨어 있다. 낯설고 기이한 화풍이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나무' 연작도 함께 전시된다.

'달동네 작가' 정영주는 '아스라이'와 '기억' 등 작품을 통해 유년 시절 추억 속 풍경을 끄집어낸다. 송지연의 '종이 울리다'도 산동네 서민들의 풍경을 차분하게 그렸다. 두 작가의 화풍은 닮은 듯 다른 개성을 뽐낸다.

도시의 변화를 나름의 시선으로 재해석한 이만나의 2024년 신작 '깊이 없는 풍경'도 만날 수 있다. 윤정선의 '한강공원'은 여의도 수변 공원에서 마포를 바라보는 시선을 파노라마처럼 펼쳐 보인다. 숨 가쁜 도시의 일상 속 명상을 유도하는 침잠의 시각을 담았다.

전시를 기획한 하계훈 미술평론가는 "동양화·서양화 등 구분을 짓지 않고 오늘의 풍경을 잘 담아낼 수 있는 작가를 엄선했다"면서 "작가들은 공간에 투영된 개인의 경험과 보편적 가치를 포착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현대인들이 자연 속에서 느끼는 해방감과 여유로움도 작가들이 흥미롭게 표현한 화폭에서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슬기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