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전 죽은 자식 못 떼놓는 어미 침팬지의 슬픔…스페인 동물원 `울컥`

박양수 2024. 5. 22. 16: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끼를 잃은 어미 침팬지가 죽은 새끼를 3개월 간 품에 안고 다녀 보는 이들에게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CBS 방송 등의 보도에 따르면 스페인 발렌시아에 있는 비오파크 동물원에서 나탈리아라는 이름의 어미 침팬지가 슬픔에 잠긴 채, 죽은 새끼의 시신을 100일 가까이 한순간도 몸에서 떼어내지 않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물원측 "100일 가까이 계속 안고 다녀…침팬지도 죽음 애도"
지난 16일 스페인 발렌시아 주 비오파크 동물원에서 죽은 새끼의 시신을 3개월간 데리고 다니는 침팬지 나탈리아가 바위 위에 앉아있다. [로이터(발렌시아)=연합뉴스]

새끼를 잃은 어미 침팬지가 죽은 새끼를 3개월 간 품에 안고 다녀 보는 이들에게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CBS 방송 등의 보도에 따르면 스페인 발렌시아에 있는 비오파크 동물원에서 나탈리아라는 이름의 어미 침팬지가 슬픔에 잠긴 채, 죽은 새끼의 시신을 100일 가까이 한순간도 몸에서 떼어내지 않고 있다. 3개월여 전 태어난 나탈리아의 새끼는 세상에 나온 지 며칠 지나지 않아 숨을 거뒀다.

침팬지도 인간처럼 가까운 이의 죽음을 애도하며, 나탈리아와 같은 행동은 과거에도 동물원이나 야생의 침팬지에게서 관찰된 적이 있다.

그러나 애도하는 기간이 이번처럼 긴 경우는 매우 드문 일로, 나탈리아를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고 동물원 측은 설명했다.

비오파크 동물원장 미겔 카사레스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동물의 애도도 존중돼야 한다"며 "처음에는 죽은 새끼 침팬지를 보고 충격을 받는 관람객들도 우리가 왜 시신을 어미와 함께 놔두면서 관찰 중인지를 설명하면 납득한다"라고 말했다.

나탈리아는 지난 2018년에도 새끼 한 마리를 잃은 적이 있다고 한다.

인간과 유전자의 98%를 공유하는 영장류인 침팬지는 인간과 비슷한 방식으로 슬픔을 느낀다고 알려져 있다.

침팬지와 같은 유인원은 죽음에 대해 고도로 발달한 인식을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지난 2010년 발표된 바 있다.

한 연구에선 과학자들이 죽은 새끼의 시신을 70일간 안고 쓰다듬는 어미 침팬지를 발견한 적도 있다.

국제환경단체 세계자연기금(WWF)은 침팬지를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한다. WWF에 따르면 밀렵과 서식지 감소, 질병 등으로 위협받고 있는 전 세계 침팬지의 개체 수는 17만~30만 마리 정도로 추산된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