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밥솥 명가’ 쿠쿠, 냉동고 출시…대형가전 진출 통할까

김경은 2024. 5. 22. 16: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밥솥 명가' 쿠쿠가 냉동고를 출시하며 대형가전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다.

그동안 전기밥솥을 넘어 다양한 중소형 가전으로 제품군을 다각화 한 쿠쿠가 대형가전을 출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쿠쿠는 냉동고를 시작으로 대형가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쿠쿠는 중소형 가전을 넘어 대형가전까지 제품군을 확대해 종합가전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쿠쿠홈시스, 이달 ‘쿠쿠 스탠드 냉동고’ 선봬
취급 제품군 약 40종…대형가전 시장엔 첫발
쿠쿠 전체 매출서 밥솥 외 상품군 비중 증가세
대형가전 추가 출시 검토…“종합가전기업 도약”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밥솥 명가’ 쿠쿠가 냉동고를 출시하며 대형가전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다.

그동안 전기밥솥을 넘어 다양한 중소형 가전으로 제품군을 다각화 한 쿠쿠가 대형가전을 출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대기업 중심의 대형가전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 ‘종합가전기업’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사진=쿠쿠)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쿠쿠홈시스(284740)는 이달 ‘쿠쿠 스탠드 냉동고’를 출시할 예정이다. 가정용 냉동고로 여름철을 맞아 가정 내 냉동 공간의 필요성이 커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고물가로 인해 냉동식품과 각종 식자재를 대량으로 구입해 냉동고에 보관하려는 수요가 늘어나는 점도 출시 배경이 됐다.

쿠쿠는 냉동고를 시작으로 대형가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쿠쿠는 국내 전기밥솥 시장점유율이 70%에 달하지만 쌀 소비가 줄고 즉석밥 등 간편식 수요가 늘면서 좁아진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사업 영역을 넓혀 왔다.

현재 밥솥을 비롯해 에어프라이어, 식기세척기 등을 판매하는 주방가전 계열사 쿠쿠전자와 정수기, 공기청정기, 청소기 등을 판매하는 렌털·생활가전 계열사 쿠쿠홈시스 두 회사에서 취급하는 가전 품목은 약 40개에 이른다. 사실상 냉장고, 에어컨, TV 등 대형가전을 제외한 가전제품 전체를 생산하고 있다.

제품군을 확장한 결과 쿠쿠 전체 매출에서 밥솥 외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늘고 있고 실적도 상승세다.

지주사인 쿠쿠홀딩스(192400)의 지난해 매출은 7722억원으로 전년대비 2% 증가했다. 전체 매출에서 밥솥 외 상품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8.8% △2021년 13.6% △2022년 19.2% △2023년 19.3%로 꾸준히 늘고 있다.

쿠쿠는 중소형 가전을 넘어 대형가전까지 제품군을 확대해 종합가전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다만 대형가전 시장에서 삼성전자(005930)와 LG전자(066570)의 입지가 공고한 만큼 이들과 차별화를 고민 중이다. 대기업이 장악한 냉장고가 아닌 냉동고로 시장에 진출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다.

대형가전 시장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대목이다. 고물가에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이사 수요가 둔화하면서 대형가전 판매가 부진한 상황이다.

쿠쿠 관계자는 “가정에서 냉장고 외에 냉동고만 추가로 구매하는 수요가 늘고 있다는 점에서 제품 개발 및 판매를 결정했다”며 “냉동고 외 다른 대형가전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김경은 (gold@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