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가더니 콧대 높아진 김…편의점 김밥도 '3천 원'

류난영 기자 2024. 5. 22. 15: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 가격이 오르면서 서민 대표 음식 김밥 가격이 줄줄이 오른 가운데,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김밥 가격도 3000원을 넘어섰다.

22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A사의 올해 1월부터 21일까지 출시된 신상 김밥 평균 가격은 3280원이다.

김가네김밥 등 김밥 전문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김밥 가격은 이미 3000원을 넘었다.

현재 편의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김밥 가격은 2000~3000원대에 형성돼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월 편의점 김밥 평균가 3280원 9.3%↑
편의점 업계 "토핑 달라 직접 비교 어려워"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한 편의점에 김밥이 진열돼 있다.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김 가격이 오르면서 서민 대표 음식 김밥 가격이 줄줄이 오른 가운데,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김밥 가격도 3000원을 넘어섰다.

22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A사의 올해 1월부터 21일까지 출시된 신상 김밥 평균 가격은 3280원이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9.3% 오른 수치다.

평균 가격은 인상됐으나 전체 중량은 인상 폭보다 더 높은 15.3% 늘었다.

김가네김밥 등 김밥 전문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김밥 가격은 이미 3000원을 넘었다.

앞서 바르다김선생, 김가네김밥 등 주요 김밥 프랜차이즈는 메뉴 가격을 100~1000원씩 올렸다.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서울시 기준 지난달 김밥 가격은 평균 3362원으로 전년 동기(3123원) 대비 7.7% 인상됐다. 2년 전(2908원)과 비교하면 15.6% 올랐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김밥 소비자물가지수는 131.61로 2020년 대비 31.7% 올랐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김 값이 급등하면서 바르다김선생, 김가네김밥, 뚱채김밥 등 주요 김밥 전문 프랜차이즈의 김밥 메뉴 가격도 인상한 가운데 24일 서울 시내의 한 김밥 프랜차이즈 가게 앞에 김밥 메뉴판이 붙어 있다. 2024.04.24. ks@newsis.com

현재 편의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김밥 가격은 2000~3000원대에 형성돼 있다.

리뉴얼 제품이 출시되면서 일부 김밥 가격은 4000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편의점 CU에서 판매되고 있는 최고가 김밥은 '참치&계란김밥제주'로 4300원에 판매중이다. 가장 저렴한 김밥 '햄말이소불고기김밥'(2200원)과 2배 가량 차이가 난다.

GS25에서 판매되고 있는 최고가 김밥인 '한돈제육쌈김밥'은 3500원이다. 총 중량의 40%가 토핑이다. 가장 저렴한 '가성비 라인' 제품 촉촉유부초밥 3입의 가격(2400원)과 비교해 1100원 차이가 난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김밥은 트렌드 등을 반영해 2~3개월 마다 신제품이 출시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가격을 비교하기는 어렵다"며 "리뉴얼 출시하면서 용량을 늘리거나 토핑을 추가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감안하면 가격이 오히려 저렴해지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17일 한국소비자원의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김밥·삼겹살·자장면 등 대표 외식 8개 품목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3~9.4% 올랐다. 냉면은 지난해 4월 1만923원이었지만 1년새 7.0%상승하며 1만1692원까지 올랐다. 17일 서울 시내의 한 식당 앞에 김밥 가격이 표시돼 있다. 2024.05.17. bluesoda@newsis.com

김밥 가격이 인상되고 있는 것은 주 원재료인 김 가격 영향이 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가격 정보에 따르면 21일 기준 마른김 한 속(100장)당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평균 1만700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6810원 대비 57.1% 올랐다. 2022년 같은 기간 한 속당 5852원 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년 새 2배 가까이 오른 것이다.

이는 김 수출이 급격히 늘면서 김의 원재료인 '원초' 수급이 불안정한 영향이다.

김 원초는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만 생산되고 있다. 일본 등에서 이상 기후가 이어지면서 생산량이 줄면서 한국산 김 수요가 늘었다.

지난해 국내 김 수출액은 7억9000만 달러(약 1조600억원)로 전년 대비 22.2% 늘어나는 등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