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맨' 이재준 "늙어가는 수원에 새빛…대개조 골든타임"

CBS노컷뉴스 박창주 기자 2024. 5. 22. 14: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준 수원시장이 '수원형 도심 재창조 2.0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수원특례시 제공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늙어가고 있는 수원 도심에 새빛을 비춰 대개조하겠다"고 천명했다.

22일 이재준 시장은 언론브리핑을 열고 "지난해 말 기준 수원지역 노후 저층 주거지가 60% 이상, 30년 이상 공동주택 단지는 25% 이상으로 이대로면 오는 2040년 노후주거지는 80%에 육박하게 된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지금이 늙어가는 수원 도심에 대한 재정비를 시작할 골든타임이다"라고 힘줘 말했다.

이와 관련해 '수원형 도심 재창조 2.0 프로젝트'를 제시하면서 '더 빠르게, 더 크게, 더 쉽게'라는 3대 전략에 방점을 찍었다.

첫째는 신속한 노후 원도심 정비사업 추진이다. 올해 하반기부터 정비구역 주민제안 방식이 도입돼 5~10년 정도 걸리던 신규 정비구역 지정기간이 2년으로 단축된다는 게 핵심이다.

이 시장은 "재개발·재건축 예정지를 시에서 지정하던 방식에서 시민 누구나 정비구역 지정을 제안할 수 있도록 수원시 전역을 19개로 분류한 '생활권계획'을 수립하고 용적률 인센티브를 재정비했다"며 "관련 조례 개정과 정비사업 후보지 공모를 순차적으로 진행해 발빠르게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달 안에 기본계획을 고시하고 7월 말 조례 개정을 거쳐 9~10월쯤 후보지 공모를 이어가겠다는 게 시의 구상이다. 오는 2026년까지 6천 세대, 2030년까지는 2만 세대의 노후주거지를 정비후보지로 선정할 방침이다.

다음은 노후택지개발지구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다. 지난달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됨에 따라 여러 단지를 묶고 각종 특례를 적용해 통합재건축이 가능해졌다는 점을 앞세웠다.

그는 "우리 시의 100만㎡ 이상 대규모 노후 주거지역이 미래 도시로의 도약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그 시작이 노후계획도시기본계획 수립이다"라고 설명했다.

대상 지구는 △영통지구(326만㎡) △정자지구(정자+정자2, 133만㎡) △천천지구(천천+천천2, 108만㎡) △매탄지구(매탄1~4+원천, 298만㎡) △권선지구(권선1~3, 143만㎡) 등이다. 기본계획 수립은 내년 말 완료를 목표로 삼고 있다.

이재준 수원시장 모습. 수원특례시 제공


또한 이 시장은 역세권 고밀복합개발을 통한 청사진을 그렸다. 수원 역세권의 노후 주거지 용적률을 대폭 높여 개발을 도모하는 그림이다.

이 시장은 "22개 역세권의 지역별 특성에 맞춰 복합개발 모델을 만들고 이 가운데 더블역세권 4개소와 트리플 역세권 1개소는 우선적으로 개발하겠다"며 "승강장 경계로부터 500m내는 법적상한용적률의 120%까지 상향하고, 200m 내의 초역세권은 최대 준주거지역까지 종상향을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역세권의 다양한 용도를 융합해 청년창업허브, 문화창조허브 등 미래도시로의 성장 엔진을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이 시장은 노후 다세대주택 밀집지역과 재개발 해제지역, 신구주택 혼재로 대규모 정비가 어려운 사각지대에 '새빛타운'을 조성하기로 했다. 통합개발로 사업구역을 넓히고 용도지역 상향과 공공지원 등으로 사업성을 높여 소규모주택정비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또 주변 시세의 70% 수준 보증금으로 최소 20년 이상 거주할 수 있는 '새빛안심전세주택'을 역세권 신축아파트에 조성하기로 했다. "정비사업으로 인한 이주민과 청년, 신혼부부 등에게 우선 제공하기 위해 2026년까지 약 90호, 장기적으로는 2천호 정도를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시장은 공공과 민간 분야에서 도시계획 업무를 맡아 온 설계 전문가 출신으로,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 도시설계 '브레인'으로 활약했다. 국토균형발전 계획과 세종혁신도시, 마곡신도시, 노량진뉴타운 등이 그의 손을 거쳤다.

끝으로 이 시장은 "주거의 변화가 곧 시민 삶의 변화이다"라며 "수원 전역이 활력 넘치고 경쟁력 강한 미래도시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하겠다"고 역설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박창주 기자 pcj@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