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S 3] 엇갈린 B조 한국팀 운명…GF '안정권' 젠지-'먹구름' DK

강윤식 2024. 5. 22. 12:4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젠지e스포츠(사진=크래프톤).
펍지 글로벌 시리즈(PGS) 3가 그룹 스테이지 2일차 경기를 마쳤다. 마지막 3일차 경기를 앞두고 B조는 모든 경기를 마친 가운데, 젠지는 그랜드 파이널 진출 안정권에 진입했고, 디플러스 기아는 다소 불안한 상황을 맞게 됐다.

21일(한국 시각) 중국 상하이 VSPN 스튜디오에서 PGS 3 그룹 스테이지 B/C조 경기가 열렸다. 20일 진행된 A/B조 경기 결과와 합산해 B조에 속한 팀은 12번의 경기를 모두 소화하며 그룹 스테이지를 마무리했다. 그런 가운데, B조에 속한 한국의 젠지는 65점을 기록했고, 디플러스 기아는 51점을 기록했다.

1일 차 A/B조 경기에서 안정적인 경기 운영에 한 번의 치킨까지 곁들여 53점을 획득했던 젠지는 2일차에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여섯 번의 매치에서 13점 추가에 그친 것. 하지만 어쨌든 60점을 넘기는 데 성공했다. 디플러스 기아는 분전했음에도 24점밖에 추가하지 못하며 51점으로 그룹 스테이지를 마감했다.

디플러스 기아(사진=크래프톤).
PGS 3 그룹 스테이지는 A, B, C조로 나눠지고 첫날에는 A조와 B조의 16팀, 두 번째 날에는 B조와 C조의 16팀, 세 번째 날에는 A조와 C조의 16팀이 경기를 치른다. 그렇게 대회에 참가한 24개 팀이 총 12번의 경기를 치른 후 획득한 점수로 순위를 매겨 상위 16팀을 가린다. 살아남은 16팀은 최종 우승팀을 가릴 그랜드 파이널에 오른다.

지난해 열렸던 PGS 1과 PGS 2의 경우를 미뤄봤을 때 그룹 스테이지에서 상위 16팀 안에 들기 위한 마지노선 50점 초·중반대다. PGS 1 당시 16위 커트 라인은 57점이었고, PGS 2 당시 16위를 차지했던 루미너시티 게이밍의 점수는 53점이었다. 이렇다 보니 65점의 젠지는 그랜드 파이널 안정권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51점의 디플러스 기아는 그랜드 파이널 진출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을 맞게 됐다.

물론 진출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하위권으로 처져있는 레거시, 아머리 게이밍, 데이트레이드 게이밍, 버투스.프로 등이 마지막 3일차에 선전하고, 이미 60점을 돌파한 케르베루스 e스포츠 같은 강팀들이 압도적으로 점수를 쌓는다면 중위권 혼돈 양상이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중위권에서 물고 물리는 싸움이 펼쳐진다면 디플러스 기아에게 실낱같은 희망이 생길 희망이 있는 상황이다.

현재 그룹 스테이지 순위(사진=중계 화면 캡처).
현재 그룹 스테이지 순위(사진=중계 화면 캡처).

강윤식 기자 (skywalker@dailyesports.com)

Copyright © 데일리e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