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 수상자 크루그먼 "금리 전망 광적으로 혼란"

신기림 기자 2024. 5. 22. 12: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은 중기적으로 금리 수준이 어디로 향할지 완전히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금리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주장과 장기적으로 더 높아질 것이라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는 상황이다.

크루그먼은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TV와 인터뷰에서 금리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유지될지에 대해 "미친듯이 혼란스럽다"며 금리 전망을 확신하는 이들은 "스스로를 속이는 망상가"라고 표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리 전망 확신하는 경우 스스로 속이는 망상가"
2008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Paul Krugman) 뉴욕시립대 교수가 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2019년 경제발전 경험공유사업(KSP) 성과공유 컨퍼런스'에 참석해 기자간담회를 갖고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9.9.9/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은 중기적으로 금리 수준이 어디로 향할지 완전히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금리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주장과 장기적으로 더 높아질 것이라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는 상황이다.

크루그먼은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TV와 인터뷰에서 금리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유지될지에 대해 "미친듯이 혼란스럽다"며 금리 전망을 확신하는 이들은 "스스로를 속이는 망상가"라고 표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10년 만기 국채수익률(금리)은 현재 4.4% 수준으로 팬데믹 직전 2% 미만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크루그먼은 코로나 이전과 비교했을 때 여러 가지 역학관계가 "상황을 변화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많은 제조업 투자를 유도하고 있는" 바이든 행정부의 산업 정책과 함께 크게 증가한 이민을 예로 들었다.

크루그먼은 기업들이 인공지능을 비롯한 새로운 기술 덕분에 잠재적으로 자본 지출을 늘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2019년이 여전히 기준이 되어야 할 것"이라며 "매우 낮은 금리로 돌아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지난 3월 예상한 기준금리 장기 전망 중간값은 2.6%로 현재 연준의 기준금리는 5.25~5.5%다.

다른 경제학자들은 경제와 재정 정책의 변화로 인해 장기 금리가 최소 4%가 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자연 이자율(R-스타)은 장기적으로 0.6%로 연준은 보고 있다.

크루그먼은 "R-스타가 실제로 올라갔을지 혹은 일시적 현상일지"에 대해 "두 가지 경우 모두 가능하다"고 답했다.

또 그는 연방 정부보조금에 대해 "문제가 있다"며 "수입보다 지출이 지속해서 더 많다면 영원히 지속될 수 없다"고 덧붙였다.

shinkir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