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사망…조개·새우 익혀 먹어야

최오현 2024. 5. 22. 1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처음으로 국내에서 비브리오패혈증 사망자가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6일 70대 여성 A씨가 비브리오패혈증으로 숨졌다고 22일 밝혔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매년 5~6월경에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2023년의 경우 비브리오패혈증 환자의 91.3%가 8~10월에 발생했다.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콜의존자 등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비브리오패혈증 감염 및 사망위험이 높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예방 위해 어패류 10분 이상 충분히 익혀야
피부 상처 시 바닷물 접촉 주의

[이데일리 최오현 기자] 올해 처음으로 국내에서 비브리오패혈증 사망자가 발생했다.

민족 최대 명절 설날을 사흘 앞둔 지난 2월 7일 오후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어시장을 찾은 시민이 제수품 등을 준비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질병관리청은 지난 16일 70대 여성 A씨가 비브리오패혈증으로 숨졌다고 22일 밝혔다. A씨는 14일 다리 부종·통증 및 색 변화가 나타나 응급실을 찾아 입원 치료 중 사망했다. 이후 검체 검사 결과 비브리오패혈증으로 확진됐다. A씨는 C형 간염·고혈압·뇌경색 기저질환자로 드러났다.

이에 질병청은 어패류를 익혀 먹는 등 감염 예방 수칙을 숙지해달라고 당부했다. 비브리오패혈균은 해수 온도가 18℃ 이상일 때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호염성 세균으로 주로 해수, 해하수, 갯벌, 어패류 등 광범위한 연안 해양 환경에서 서식한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매년 5~6월경에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2023년의 경우 비브리오패혈증 환자의 91.3%가 8~10월에 발생했다. 주요 감염 경로는 균에 오염된해산물을 날로 먹거나 덜 익혀서 먹은 경우,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한 경우다.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하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을 주의해야 한다. 어패류 관리 시 5℃ 이하에서 보관해야 하고 조리 시 장갑을 착용하고 반드시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또 85℃ 이상에서 10분 이상 가열처리하는 것이 안전하며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소독해야 한다.

비브리오패혈증에 걸리면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 증상이 동반된다. 증상 시작 후 24시간 내 다리 쪽에 발진, 부종, 수포 등의 피부병변이 생기므로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 한다.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콜의존자 등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비브리오패혈증 감염 및 사망위험이 높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은 사람 간 전파는 없으므로 어패류, 게, 새우 등 익히지 않은 음식을 먹지 않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바란다”고 전했다.

최오현 (ohy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