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엔터프라이즈 자동화 컨퍼런스 '인텔리전트 하이퍼오토메이션 코리아 서밋 2024' 봄 행사 개최(上)

유은정 2024. 5. 22. 11: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자신문인터넷이 주최하는 국내 대표적인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자동화 전문 컨퍼런스인 '인텔리전트 하이퍼오토메이션 코리아 서밋 2024' 봄 행사가 지난 4월 11일 코엑스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약 500여 명이 넘는 업계 관계자들이 입추의 여지 없이 참석하는 등 국내 최대 규모로 개최된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SS&C 블루프리즘, 비아이매트릭스, 오토메이션애니웨어, 레인보우브레인, 하이퍼사이언스, 포스코DX, 디티나우, 케이에스씨앤씨(KS C&C), 시와소프트, 파워젠 등 국내 대표적인 기업들이 참여했으며 한국토지주택공사, 중앙대학교광명병원, 볼보코리아 등이 베스트 프랙티스를 공유했다.

인텔리전트 하이퍼오토메이션 코리아 서밋 2024-Spring

특히 이번 행사의 청중들은 생성형AI와 RPA와의 결합에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발표사들도 관련 기술과 사례들을 통해 생성형AI와 RPA가 어떻게 시너지를 내고 또 어떻게 더 나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지 상세히 발표했다.

발표에 나선 연사들은 생성형 AI는 비즈니스를 혁신할 수 있는 '강력한 두뇌'이지만, 그 자체로는 '몸통 없는 두뇌'에 불과하다고 말하며 생성형 AI만으로는 다른 엔터프라이즈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작동할 수 없고 때때로는 오류가 발생하기도 하며, AI가 내린 의사결정에 대한 방법이나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고 설명하면서 생성형 AI는 비즈니스와 업무 수행 방식을 변화시킬 새로운 패러다임이지만 그 패러다임은 AI와 자동화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AI와 자동화의 결합은 기존의 업무 방식을 능가하는 것은 물론 더 효과적이며 자동화가 가능한 프로세스의 범위를 확장하고 모든 시스템, 프로세스, 기능에 걸쳐 AI를 활용할 수 있어 기업의 생산성을 혁신할 수 있으며, 자동화를 통해 비즈니스 데이터와 컨텍스트에 AI의 기반을 마련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를 구현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SS&C 블루프리즘 김병섭 지사장

첫 번째 기조 연설 발표자인 SS&C 블루프리즘 김병섭 지사장은 이날 '지능형 프로세스 자동화로의 Step-by-Step: 하지 못하던 일 그리고 할 수 없었던 일에 대한 도전'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지사장은 “SS&C 블루프리즘은 기업형 RPA 뿐만 아니라, 지능형문서처리(IDP), 광학문자인식(OCR), 단순기계학습(ML), 휴먼인더루프(HITL) 등과 같은 다양한 AI 기술들을 함께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을 통하여 기업은 기존의 휴먼 프로세스에서는 해결하기 어려웠던 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 지사장은 글로벌 해운 기업 하팍로이드(Hapag-Lloyd)가 2021년 수에즈 운하 에버기븐호 좌초 사고 당시, 지능형 프로세스 자동화를 통해 48시간 내에 5만개가 넘는 화물 일정을 성공적으로 변경했던 사례를 소개해 청중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하팍로이드는 블루프리즘의 객체지향기술,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자동화된 형상관리, IDP/OCR, 휴먼인더루프(HITL) 등의 최첨단의 기술들을 총체적으로 활용해 전례 없는 위기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었다.

비아이매트릭스 배영근 대표

다음 기조 연설자로 나선 비아이매트릭스 배영근 대표는 'AI가 가져올 데이터 분석 업무의 미래'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이어 나갔다. 모든 영역에 AI가 적용되는 'AI전환(AX)의 시대'를 맞아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지던 기업의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업무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강조한 배 대표는 데이터 분석 업무를 위해 필요하다고 여겨지던 DB 데이터 조회를 위한 'SQL 코딩'도, 비즈니스 현황 파악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업무 시스템 구축'도 필요 없이, 자연어로 질문만 하면 GenAI가 데이터를 조회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고 필요한 화면을 제작해 주는 시대가 왔다고 말했다.

배영근 대표는 비아이매트릭스의 생성형 AI 솔루션 'G-MATRIX'가 바로 기존의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업무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대안이라고 설명하며, 5월에는 시각화 템플릿 학습 보고서 코파일럿 적용 단계에 이른다고 G-MATRIX 로드맵을 공유했다. 아울러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환경 모두를 지원하는 데이터 추출 및 분석에 최적화된 자체 LLM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오토메이션애니웨어 코리아 이문형 지사장
레인보우브레인 이형호 이사

이어 'Gen Automation을 통한 기업의 자동화 혁신과 적용 사례'라는 제목으로 오토메이션애니웨어 코리아 이문형 지사장이 연단에 올랐다. 이 지사장은 “GenAI을 통하여 기업이 기간 시스템에 새로운 AI 를 적용하기 위하여 고민하는 요즘, AI기반 Automation인 RPA의 활용이 가장 검증된 AI의 완성화 방안 중 하나”라고 설명한 뒤 “GenAI와 RPA가 어떤 시너지를 내는지 Automation Anywhere는 실행사례를 통하여 현실적인 기업의 AI적용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후 레인보우브레인의 이형호 이사가 바톤을 이어 받아 오토메이션애니웨어의 엔터프라이즈 고객 지능형 자동화 구축 사례 즉 'RPA + Gen AI' 구축 사례를 소개했다. 이 이사는 우선 서비스 사례로 트렌드 리포팅(Trend Sensing Board) 사례를 상세히 소개하고, 다음으로 이미지 생성 사례를 공유했다. 지정된 폴더의 문서로 블로그를 작성하여 네이버 블로그를 포스팅 하는 업무로, RPA와 ChatGPT 로는 글 작성만 가능하나, DELL-E AI를 활용하여 이미지 생성을 완전 자동화한 사례다. 이형호 이사는 마지막으로 기업형 LLM 사례인 유레카챗도 소개했다. 금융(보험사) 적용 사례인 유레카챗은 RAG 시스템 구축을 통해 LLM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함으로써 복잡한 보험 관련 질문에 정확한 답변을 생생해 낸다.

하이퍼사이언스 원세진 기술총괄

하이퍼사이언스 원세진 기술총괄은 '하이퍼사이언스 Enterprise AI 플랫폼 : 비정형 문서 처리 자동화 혁신의 정점'을 주제로 발표했다. “하이퍼사이언스는 비정형 문서와 필기체 인식 자동화에서 뛰어난 글로벌 인텔리전트 문서 처리(IDP) 분야의 리더로 성장하고 있다.”로 서두를 꺼낸 원 총괄은 “엔터프라이즈 AI 플랫폼으로써, 챗 GPT 연동과 같은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커스텀 플로우를 제공한다.”고 말하며 “아직 빙산의 일각 밑의 비정형 데이터로 숨어있는 80% 업무를 자동화하는 AI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다양한 유즈 케이스 데모를 통해 증명할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원세진 총괄은 하이퍼사이언스의 차별화 기술로 손글씨 및 워터마크, 지운글씨 인식과 극도로 낮은 해상도와 비틀린 문서 처리 특화 기술, 뛰어난 수기 글씨 인식 및 영문 손글씨 처리(극단적인 OICR 정확도) 등도 소개했다. 이어 상세한 Key/Value 식별 모델(Field Identification) 데모와 Table 식별 모델(Table Identification(Columns:Rows) 데모를 통해 청중들의 호응을 이끌어 냈다.

포스코DX 김정훈 프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김동현 사무관

이어 발표자로 나선 포스코DX의 김정훈 프로는 RPA 솔루션인 A.WORKS가 기존 경영지원 업무 뿐 아니라 건설, 무역 등 산업 고유의 업무에 적용되는 현장 반응형 솔루션임을 강조하며, 민간산업 도입경험과 함께 현재 공공기관에서의 적용 사례를 소개 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도입사례를 발표한 김동현 사무관은, 유기농 온라인 판매 시 실제 등록되어진 유기농 제품과 온라인상의 마케팅 문구에 유기농으로 표기된 제품을 비교, 단속하여 소비자가 좋은 유기농 제품을 온라인상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업무를 A.WORKS를 통해 처리함으로써, 기존 담당자가 많은 시간이 걸리던 업무를 획기적으로 단축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사무관은 국립종자원의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종자(씨앗)에 대해 판매업 신고 여부확인 및 농업경영체 유효기간 만료 통보를 자동화 함으로써, 기존 담당관이 매일 유효기간 만료되는 농가를 검색 후 안내문자를 발송 등 많은 시간이 소요되던 업무를 자동화하여 업무시간을 단축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DX는 다양한 A.WORKS 적용 사례 공유와 함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기능을 강화한 새로운 버전의 A.WORKS를 약속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모습과 발전하는 모습으로 고객에게 다가 갈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디티나우 한성근 이사

삼성 SDS 비즈니스 파트너이자 RPA 구축 전문 기업인 디티나우는 RPA 전환 솔루션 DT-RX를 공개하고, 이를 이용한 외산 RPA 솔루션의 국산 RPA로의 전환 방법과 삼성SDS 하이퍼오토메이션 플랫폼 '브리티 오토메이션'을 소개했다. 발표를 진행한 디티나우 한성근 이사는 “RPA 도입 기업이 '과제 발굴 한계', 'RPA 유지보수 어려움' 및 '외산 RPA 라이선스 비용 인상'이라는 삼중고의 문제와 '1인 1봇의 실현을 위한 RPA 제품 학습 및 비용 한계', '지능형 챗봇(intelligent Chatbot)이나 AI-OCR과 연계되는 IDP(intelligent Document Processing) 제품의 기술 및 비용 현실성' 그리고 '시작 단계에 들어간 RPA와 생성형 AI 연동' 등과 같은 자동화 질적성장을 위한 요소에 부딪쳤다면, 신속히 현재 RPA 운영 상황 점검을 통해 자동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 이사는 이 같은 문제로 외산 RPA솔루션을 현실적인 국산 RPA 솔루션으로 교체한 사례에 대한 통계를 제시하며, 기업들의 RPA 전환 이유와 함께 RPA 제품 교체 시의 어려움과 실제 RPA 전환 사업을 진행한 고객의 소리를 전했다. 컨퍼런스에 함께 참석한 디티나우 엄세영 대표는 “RPA 솔루션의 안정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이미 개발된 수십, 수백 개 과제의 전환 개발 기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해주는 국내 최초의 RPA 마이그레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시장 검증을 마쳤다”고 말했다.

'인텔리전트 하이퍼오토메이션 코리아 서밋'은 2018년에 시작된 국내 최대 규모의 엔터프라이즈 자동화 컨퍼런스로 매년 봄과 가을에 개최되며, 연인원 1,000여 명 이상의 국내 ICT 업계 종사자들이 참관하는 국내 대표적인 시그니처 행사다. 올가을 행사는 10월 18일 코엑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유은정 기자 judy6956@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