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데이 2024' 내일 개최…K-배터리 대표주자 총출동

정현정 2024. 5. 22. 10: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열린 '배터리데이 2023'에서 김기헌 삼성SDI 부사장이 'Lead to Battery R&D Paradigm Shift with Computers, Mathematics and Data Intelligence'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전자신문이 주최하는 '배터리데이 2024'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배터리데이는 배터리셀부터 소재·부품·장비에 이르는 최신 기술 트렌드와 미래 시장 전망을 전문가들로부터 들을 수 있는 콘퍼런스다. 행사는 23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그랜드컨퍼런스룸 401호에서 열린다.

피할 수 없는 전기차로의 전환을 앞두고 배터리 업계는 치열하게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특히 미래 시장을 이끌 차세대 기술에 시선이 쏠려있다.

'배터리데이 2024'에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에코프로, 대주전자재료, 엔켐 등 배터리 업계 주요 기업이 총출동해 전고체 배터리,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진단을 비롯해 미래 배터리 시장을 이끌 차세대 기술 트렌드와 시장 전망을 공유한다.

'배터리데이 2024' 프로그램

국내 최대 배터리 제조사 LG에너지솔루션은 '새로운 고객 경험·가치 제공을 위한 BMTS(Battery Management Total Solution)'를 주제로 발표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진단 기술을 바탕으로 배터리 생산과 판매를 넘어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임피던스분광법(EIS) 기반 배터리 진단 시장 90%를 점유한 민테크도 '배터리 안전성 진단을 위한 혁신 EIS-BMS 기술 전망'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민테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EIS 기반 3세대 배터리 진단 기술을 상용화한 업체다.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으로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도 화두다. 국내 배터리사 가운데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서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 삼성SDI에서 고주영 중대형전지사업부 부사장이 참여해 '삼성SDI의 배터리 전략'을 주제로 발표한다. 고 부사장은 지난해 신설된 ASB(All Solid Battery) 사업화 추진팀을 이끌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 이온 전도도 향상을 위한 필수 장비인 초고압 프레스를 개발하는 일신오토클레이브는 '전고체배터리 생산공정에 있어 WIP 활용 및 산업동향'을 주제로 발표한다. 전고체 배터리는 모든 소재가 고체로 이뤄진 만큼 이온전도도를 높이기 힘든 것이 기술 장벽으로 꼽힌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초고압공정에 필요한 장비가 온간정수압장비(WIP)다.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는 국내 대표 기업인 에코프로, 엔켐, 대주전자재료가 참여해 차세대 소재 개발 현황과 시장 동향을 소개할 예정이다. 에코프로에서는 양제헌 이사가 연사로 나서 양극재 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엔켐에서는 양호석 기술연구소 부사장(CTO)이 '엔켐의 R&D 및 중장기 사업 전략'을 소개한다. 음극재 분야에서는 전기차용 실리콘 음극재를 업계 최초로 상용화한 대주전자재료가 참여해 실리콘계 음극소재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무역 갈등을 겪으면서 희토류 공급망 구축 필요성도 대두된다. 또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전기차 핵심 부품인 영구자석 기술 확보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LS전선은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의 탈중국 움직임과 LS전선의 전략'에 대해 발표한다. LS전선은 LS에코에너지, LS에코첨단소재 등 핵심 자회사와 함께 희토류 영구자석 밸류체인 구축에 나섰다.

'배터리 업계 TSMC'를 표방하는 제이알에너지솔루션은 떠오르는 배터리 파운드리 사업 모델과 시장 전망을 소개한다. 제이알에너지솔루션은 고객사 요청에 맞춰 배터리 반제품에 해당하는 전극을 위탁생산해 공급하는 사업을 업계 처음으로 시도한 기업이다.

향후 전기차 시장과 배터리 산업 전망에도 많은 관심이 쏠린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EV볼륨스에서 전기차와 이차전지 시장 동향 및 전망을 소개한다. EV볼륨스에 따르면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는 내년 1244GWh로 1TWh(1000GWh)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데이 2024' 사전 등록은 오늘 오후 5시까지 행사 홈페이지에서 진행된다. 현장등록도 가능하다.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전자신문 홈페이지(콘퍼런스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현정 기자 ia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