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서 4차 한류붐…무협, K소비재의 일본 진출 위한 전시회 개최

강다은 기자 2024. 5. 22. 10: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감귤수출연합이 일본에서 제주감귤을 홍보하고 있다/뉴스1

‘4차 한류붐’이 일어나고 있는 일본에 K소비재 진출을 늘리기 위한 전시회가 열렸다.

한국무역협회는 22~23일 일본 도쿄국제포럼에서 ‘2024 도쿄 K-Product 프리미엄 소비재전’을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올해로 23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상담회에는 식품, 미용·화장품 등 국내 우수 소비재 기업 74사가 참가했다. 또 팬퍼시픽인터내셔널(할인 잡화점 돈키호테 운영사), 라쿠텐 등 일본의 대형 유통바이어 500여사가 참여해 800여건의 상담을 진행했다.

특히 올해 행사에는 전문무역상사로 지정된 롯데홈쇼핑과 NH농협무역이 동행해 수출 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판로 개척에 나섰다. 전시장에는 다양한 홍보관도 마련됐다. 무역협회의 온라인 수출 플랫폼인 트레이드코리아(tradeKorea) 홍보관에서는 전시회에 직접 참가하지 못한 국내 기업제품 전시 및 일본 현지 바이어와의 1:1 온라인 수출 상담이 진행됐다. FTA 홍보관에서는 사실상 한-일 FTA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역내포괄적동반자협정(RCEP) 활용 관련 개별 맞춤형 컨설팅도 제공됐다.

일본에선 최근 ‘4차 한류’가 일어나고 있다. 과거 한국 드라마나 영화 등 콘텐츠에서 시작된 200년대 초 1차 한류와 2000년대 말 2차 한류, 2010년대 말 3차 한류와 달리 4차 한류는 K푸드·패션 등으로 소비 범위가 확장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 문화에 이어 화장품, 식품 등으로 소비가 확장되면서 일반 소비재에서도 한국 제품들이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끄는 것이다. 과거 화장품, 완구 등 소비재를 일본에서 수입해 썼는데, 최근엔 반대로 한국이 고품질의 소비재를 일본에 다량 수출하게 됐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일본 내 한류 열풍은 과거 일부 특정 연령층이 주도하던 시기를 지나 전 연령층이 문화 콘텐츠‧음식‧패션 등 일상 전반에서 한국 문화를 소비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며 “수요층이 확대된 지금이 우리 기업의 일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최적의 시기”라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