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 '비락식혜 제로' 출시 50일 만에 300만개 팔려

구예지 기자 2024. 5. 22. 08: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팔도는 '비락식혜 제로'가 누적 판매량 300만 개를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비락식혜 제로는 팔도가 3월 선보인 제로 버전의 식혜다.

팔도 연구진은 제로 버전의 식혜를 만들기 위해 설탕 대신 대체당을 사용해 특유의 달콤함을 살렸다.

팔도 관계자는 "비락식혜 제로 출시 이후 2030세대부터 시니어 층까지 활발한 고객 유입이 일어나고 있다"며 "적극적인 제품군 확장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 가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로 열풍과 할매니얼 트렌드 결합
자체 공정과 천연 감미료 적용
비락식혜 제로 모습.(사진=팔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구예지 기자 = 팔도는 '비락식혜 제로'가 누적 판매량 300만 개를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비락식혜 제로는 팔도가 3월 선보인 제로 버전의 식혜다.

출시 50일 만에 판매량 300만 개를 달성했다. 이는 팔도가 예측한 초기 판매량 대비 4배 많은 수치다.

팔도는 생산량 확대를 통해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할 방침이다.

팔도는 신제품의 인기 요인으로 소비자층 확대를 꼽았다.

식음료 전반에 걸친 '제로' 열풍과 할매니얼(할머니와 밀레니얼의 합성어) 트렌드가 결합해 기존 고객 외에 젊은 층의 소비를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제조 방식도 관심을 끈다.

식혜는 보리에 물을 부어 싹을 틔운 엿기름과 멥쌀을 주원료로 만든다. 엿기름과 멥쌀 자체에 당(糖)이 함유돼 식혜를 당류, 칼로리 제로로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팔도 연구진은 제로 버전의 식혜를 만들기 위해 설탕 대신 대체당을 사용해 특유의 달콤함을 살렸다. 자체 공정을 통해 밥알은 섬유질만 남겨 식혜 특유의 식감을 유지했다.

실제, 비락식혜 제로는 동영상 플랫폼, SNS에서 기존 제품과 차이 없는 맛으로 호평받고 있다.

팔도 관계자는 "비락식혜 제로 출시 이후 2030세대부터 시니어 층까지 활발한 고객 유입이 일어나고 있다"며 "적극적인 제품군 확장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 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unrise@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