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운전시스템 개발 지휘한 배홍용 HL만도 부사장, '산업포장' 수훈

박찬규 기자 2024. 5. 22. 08: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HL만도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배홍용 부사장이 지난 21일 개최된 '제59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산업포장'을 수훈했다.

배 부사장은 전동 조향 장치, 최첨단 운전 시스템 개발 등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59회 발명의날 기념식서 배홍용 부사장 산업포장 수훈
-HL만도 김태식, HL클레무브 한윤기 연구원, '지재위 위원장', '산자부 장관' 표창 수상
제59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HL만도 배홍용 부사장(가운데), HL만도 김태식 책임연구원(왼쪽), HL클레무브 한윤기 책임연구원(오른쪽)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HL만도
HL만도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배홍용 부사장이 지난 21일 개최된 '제59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산업포장'을 수훈했다. 배 부사장은 전동 조향 장치, 최첨단 운전 시스템 개발 등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HL만도 김태식 책임연구원은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장 표창', HL클레무브 한윤기 책임연구원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각각 수상했다.

배 부사장은 한국 스티어링(Steering) 산업 발전의 주역이다. 1993년 HL만도 조향 연구소 입사, 2003년 '전동 운전 시스템(EPS)' 독자 개발 완성, 이듬해 2004년 양산 돌입, 2022년 누적 생산량 5000만대 돌파까지 약 30년 동안 배 부사장은 스티어링 기술 연구와 대중화, 세계화에 매진해 왔다.

'EPS 최초 국산화'라는 수식어를 넘어 배 부사장은 2016년 '자유 장착형 첨단 운전 시스템(SbW)'을 최초 개발, 2021년 CES 혁신상을 받기도 했다. 시장 조사 기관 에스앤피 글로벌 모빌리티(S&P Global Mobility)는 향후 HL만도가 SbW 시장에서 글로벌 선두그룹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김태식 HL만도 책임연구원은 '이중 안전화 기술' 발명을 주도했다. 자동차 업계 용어는 '리던던시'(Redundancy), 즉 조향 장치의 꺼짐을 방지하는 최첨단 안전 기술이다. 특히 운전자 보호 측면에서 리던던시의 활용도가 높다. 운전 중 드라이버에게 위험 신호를 알릴 뿐만 아니라 차에 문제가 발생해도 운전 시스템은 정상 작동되기 때문에 부득이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윤기 HL클레무브 R&D센터 책임연구원은 자율주행 기술 발전 공로를 인정받았다. 중거리 레이더(MRR: Middle Range Radar) 국내 최초 개발과 상용화를 주도한 한윤기 책임은 고성능 전방 레이더, 코너 레이더(Corner Radar) 양산 개발에 기여한 데 이어, 현재는 최첨단 인지 센서 '라이다(Lidar)' 국산화에 주력하고 있다.

HL만도와 HL클레무브가 출원한 특허는 국내 5365건, 해외 5022건 등 1만387건에 달한다.

배홍용 부사장은 "특허 성과는 양사와 전 세계 자동차 메이커가 함께 호흡한 결과"라며 "대한민국은 물론 세계 시장에서 기술과 특허로서 승부하는 HL그룹 자동차 섹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찬규 기자 star@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