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슈] 반도체 경기 전망은 '맑음'…엔비디아發 훈풍도 기대

최주연 외신캐스터 2024. 5. 22. 08:2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기업이슈' - 최주연

어제(21일) 장 이슈가 있었던 업종 살펴보는 기업이슈 시간입니다.

어제 우리 시장은 수출 모멘텀이 부각됐던 업종 위주로 상승세를 연출했습니다.

어떤 업종들이 수출 개선세를 보였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 반도체 경기 '긍정' 전망…엔비디아 훈풍도 기대

먼저 반도체주입니다. 

어제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들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를 조사한 결과 반도체 업계는 2022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기준선을 넘어 경기 개선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이 BSI 지수는 100보다 높으면 전월 대비 긍정적인 경기 전망을 나타내는데요.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 및 통신장비 업종은 105.9를 기록했죠.

조사기관 한국경제인협회는 글로벌 수요 증가로 반도체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 업종의 기업 심리가 개선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엔비디아 실적 공개가 이제 하루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여러 투자은행사들에서 엔비디아의 목표주가를 줄줄이 올리고 있는데요.

이번 분기에도 엔비디아가 호실적을 달성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국내 반도체 업계도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 분기 최대 수출 기록…화장품주 고공행진

화장품주도 수출 호실적 소식에 어제 수급이 강하게 몰렸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실적은 11조 468억 원으로 집계되면서 세계 4위 규모를 유지했습니다. 

또 올해 1분기 화장품 수출액은 지난해 1분기보다 21.7% 증가한 약 3조 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으로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최근 중국과 홍콩을 제외한 비중국 수출액 비중이 지난해 61%까지 상승하며 수출 실적이 커진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증권가에서는 하반기에도 화장품 섹터가 수출 중심의 성장 가도를 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업황 회복뿐만 아니라 환율 효과까지 나타나면서 수출 모멘텀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에 따라 어제도 화장품 주가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 방산업체 세계 1위 예약…방산주 호황 지속

어제 방산주도 향후 수출 모멘텀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에 상승했습니다. 

국내 방산 기업들이 2032년까지 주력 수출 품목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대폭 끌어올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기 때문이죠. 

미래에셋증권은 영국 군사정보 전문업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봤을 때 국내 대형 방산업계 빅4 기업들이 2032년에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또는 2위에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은 점유율 64%를 달성하고 LIG넥스원의 천궁-II는 시장 점유율 27.5%를 차지하는 등 국내 기업들이 앞으로 수출 규모를 더욱 확대해 방산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할 것이라는 분석이죠. 

최근 지속적으로 방산 업체들의 수출 계약 소식이 들려오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도 이 기세를 이어갈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이런 기대감에 일부 방산주들이 올랐습니다.

◇ 이더리움도 승인되나…비트코인, 1억 원 눈앞

어제 가상자산이 비트코인 현물 ETF에 대한 자금 유입과 이더리움 ETF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승인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21일 기준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오후 5시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6% 급등한 7만 달러를 기록했는데요.

비트코인이 7만 달러를 회복한 것은 지난달 11월 이후 처음입니다. 

같은 시간 이더리움도 24시간 전과 대비해 18% 넘게 올라 3669달러에 집계됐죠. 

오는 23일에 미국 SEC가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여부를 발표할 예정인데요.

SEC가 이더리움 현물 ETF 발행사와 거래소에 관련한 문서 업데이트를 요청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이더리움 승인 가능성이 부각됐습니다. 

또한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ETF 분석가도 승인 확률을 25%에서 75%로 올리며 가상자산에 수급이 몰리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최근 투자은행사들이 공개한 보유지분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 현물 ETF에 투자 중인 기관이 약 1900곳으로 나타난 것도 가상자산 시장에 호재로 작용했는데요.

이 같은 소식에 국내 관련주들도 크게 올랐습니다.

지금까지 어제 장 이슈 살펴봤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