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리포트] 기업대출 출혈경쟁… 은행권, 중소기업 연체율 상승에 근심

박슬기 기자 2024. 5. 22. 06: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 멀어지는데 불어나는 부실②] 5대 은행서만 800조 육박, 눈덩이처럼 커지는 부실
[편집자주]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예상 시점이 점점 뒤로 밀리고 있다. 지난해 1월부터 3.50%의 기준금리가 이어지면서 고금리를 감당하지 못하는 대출자들이 늘고 있다. 고물가, 고환율로 차주들의 상환능력도 악화하면서 금융권의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은행권이 가계대출 대신 기업대출로 눈을 돌리면서 부실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다./그래픽=김은옥 기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로 기업대출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는 은행권을 향해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고금리 기조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자 연체율 상승 등 자산건전성 우려가 함께 커지고 있다.
특히 고금리에 더해 고환율이 이어지고 내수 침체 장기화 등 중소기업들의 경영환경이 악화해 이들의 대출 상환 여력도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기업대출 규모는 800조원에 육박했다.


가계대출 대신 기업대출로 눈 돌린 은행권


은행권에 따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합한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 4월 말 기준 796조455억원으로 전월 말(785조1515억원) 대비 1.4%(10조894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4월 말(729조779억원)과 비교하면 10.5%(75조9676억원) 늘었다.

기업대출 가운데 대기업 대출 잔액은 151조2220억원으로 전월 대비 4.3%(6조1377억원) 늘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31.9%(36조5477억원) 증가했다.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644조8236억원으로 전월 대비 0.74%(4조7536억원) 증가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6.5%(39조4199억원) 증가했다.

이같은 기업대출 증가세는 은행들이 성장이 제한적인 가계대출 대신 기업대출에서 활로를 찾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 규제로 은행들이 역마진을 감수하며 기업대출 확대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기업대출의 증가와 함께 연체율 상승도 이어져 은행들은 건전성 관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5대 은행 가운데 NH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을 제외한 은행에서 기업대출 연체율이 전년 대비 줄줄이 상승했다.

KB국민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0.23%로 전년 동월 대비 0.07%포인트 올랐다. 신한은행 역시 기업대출 연체율이 1년 새 0.06%포인트 오른 0.34%로 집계됐다. 하나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전년 대비 0.04%포인트 오른 0.30%를 기록했다.


지역 경기침체에 곡소리 나는 지방은행


문제는 지역 중소기업을 주 고객으로 삼는 지방은행의 연체율이 더 크게 오르고 있다는 점이다. 원리금조차 납부하지 못하는 한계 지역 중소기업의 채무 규모가 늘면서 은행 건전성 악화를 부추기는 모습이다.

부산·경남·대구·광주·전남 등 5대 지방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1분기 0.48%에서 0.71%로 0.23%포인트 올랐다. 특히 5대 지방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79%로 지난해 1분기(0.53%) 대비 0.26%포인트 상승했다.

금융권에서는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3고(高) 현상이 이어지며 대출 원리금을 납부하지 못하는 지역 중소기업이 늘어난 결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매출 하락과 대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 지역 중소기업들이 파산 절차에 들어간 사례도 늘고 있다.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올 1분기 수도권 외 지방법원에 접수된 법인 파산 건수는 142건으로 지난해 1분기(94건)과 비교해 51%(48건) 급증했다.

경기침체 직격탄을 맞은 중소기업으로 5대 지방은행의 지난 1분기 중소기업대출 연체액은 83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8%(2958억원) 증가했다.이에 지방은행들은 건전성 관리를 위해 부실 채권을 상매각하고 있다.

5대 지방은행이 지난 1분기 상·매각한 대출채권 규모는 3764억원으로 전년 동기(2335억원) 대비 61.2% 급증했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 연체가 늘어나고 있어 충당금을 더 많이 쌓고 있다"면서도 "시중은행들이 기업대출을 경쟁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금리 경쟁력을 내세우다보니 지방은행들은 우량한 중소기업도 빼앗기고 있어 설 자리가 점점 없어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박슬기 기자 seul6@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