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북칩 미국 인기요? 이젠 우릴 모방할 정도죠”

한전진 2024. 5. 22. 06: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치토스, 레이즈 감자칩을 만드는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스낵회사 프리토레이가 있어요. 그 회사가 꼬북칩을 보고 '레이어즈'라는 카피 상품을 만들 정도로 인기입니다. 네 겹이 주는 꼬북칩의 이색적인 식감이 현지 흥행 비결인데요. 레이어즈는 세 겹에 불과해 금방 사라졌죠."

오리온(271560)에서 스낵의 K푸드화를 이끌고 있는 김성률 오리온 글로벌연구소 선임 연구원은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꼬북칩의 미국 현지 인기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성률 오리온 글로벌연구소 선임 연구원 인터뷰
‘초코츄러스’ 맛부터 해외용 꼬북칩 개발까지 총괄
“꼬북칩으로 글로벌 ‘K스낵 로드’ 만드는 것이 꿈”

[이데일리 한전진 기자] “치토스, 레이즈 감자칩을 만드는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스낵회사 프리토레이가 있어요. 그 회사가 꼬북칩을 보고 ‘레이어즈’라는 카피 상품을 만들 정도로 인기입니다. 네 겹이 주는 꼬북칩의 이색적인 식감이 현지 흥행 비결인데요. 레이어즈는 세 겹에 불과해 금방 사라졌죠.”

김성률 오리온 글로벌연구소 선임 연구원 (사진=오리온)
오리온(271560)에서 스낵의 K푸드화를 이끌고 있는 김성률 오리온 글로벌연구소 선임 연구원은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꼬북칩의 미국 현지 인기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오리온에서 일명 ‘에이스’ 식품 개발자로 통한다. 꼬북칩의 거의 모든 게 그의 손을 거쳤다. 초창기 개발 단계부터 초코츄러스맛에 이르기까지 “꼬북칩은 나의 자식과 같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실제로 미국 현지에서 꼬북칩의 인기는 심상치 않다. 현지 1020대 사이서 입소문을 타면서다. 성과도 뚜렷하다. 오리온은 지난해 미국 수출로 280억원을 벌었다. 이 중 절반에 육박하는 120억원을 꼬북칩으로만 벌었다. 2019년 코스트코, 2021년 샘스클럽 등 입점을 시작한 꼬북칩은 지난 3월 미국 전역의 ‘파이브 빌로우’, ‘미니소’ 점포에도 진출했다. 꼬북칩의 높은 성장세에 오리온은 현지 생산 공장 설립까지 고려 중이다.

이런 성과는 과자에 ‘진심’인 김 연구원의 열정 덕분이다.

글로벌연구소는 오리온 스낵의 해외 현지화 전략과 출시를 이끄는 곳이다. 그는 2017년부터 과자 개발에 뛰어들었다. 이후 꼬북칩 등의 국내 성과에 이곳까지 왔다. 이젠 꼬북칩의 해외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며칠 밤을 새면서 각국의 맛 연구 등에 매진해왔다. 특히 미국은 시나몬, 라임맛, 매운맛 등을 선호하는 것에 주목했다.

김 연구원은 “미국에서도 초코츄러스맛이 가장 인기가 좋은데 출시까지 우여곡절이 많던 제품”이라며 “달고 기름지다는 우려부터 초콜릿 점성에 따른 설비 문제까지 있었지만 갖은 설득 끝에 출시했던 제품”이라고 전했다. 이어 “세계에서 통하는 스낵 개발이 어려운 것은 전 세계 입맛을 타깃으로 해야하기 때문”이라며 “국내에선 낯선 매운 라임맛을 미국에서는 ‘플레이밍 라임맛’으로 내놨는데 반응이 좋다”고 말했다.

인도 비건 꼬북칩을 설명하고 있는 김 연구원 (사진=오리온)
모든 해외용 꼬북칩 제품이 그의 손에서 나왔다.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인도의 비건맛, 짠맛을 강조한 호주의 스테이크맛, 쌀을 사용한 중국의 마라새우맛 등이 대표적이다. 꼬북칩의 지난해 글로벌 합산 매출액은 800억원에 달한다. 향후 유럽 지역으로도 꼬북칩 수출을 진행할 계획이다.

김 연구원은 “중국·인도 등 현지 생산 공장이 있는 곳은 직접 방문해 일종의 제조법을 전수한다”며 “지난해 중국에서 새우맛을 출시할 당시에는 공장 설비에 이를 적용하기 위해 4주 동안 공장 등에서 살다시피 했다”고 떠올렸다. 이어 “분기에 한번 꼴로 해외출장을 가는데 현지 음식과 과자도 살피며 개발 아이디어를 구체화 한다”며 “중국에서는 전갈 등 괴식도 일부러 먹어봤다“고 했다.

그는 꼬북칩 등 성과를 낼 수 있던 배경으로 오리온의 기업문화를 꼽았다.

김 연구원은 “사실 제품 개발은 실패에 대한 위험이 크기 때문에 과정이 굉장히 치열하고 힘들다”며 “한 개의 제품을 개발하는데 평균 1년 이상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오리온은 성과에 대한 공유와 보상이 체계적인 곳”이라고 강조했다.

꼬북칩을 통해 앞으로 ‘K스낵 로드’를 만드는 것이 그의 꿈이다. 김 연구원은 “앞서 초코파이가 실크로드와 같은 ‘파이로드’를 만들었던 것처럼 꼬북칩이 K스낵 로드를 개척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이런 게 식품 개발자의 자부심이자 업의 매력”이라고 활짝 웃었다.

한전진 (noretur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