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생+근로자' 과부하…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여론

최다인 기자 2024. 5. 21. 18: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의료공백 사태의 핵심인 전공의들의 수련환경 개선이 다각도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수련환경 개선 방안으로 내놓은 '전문의 중심 병원체계'가 전공의 배제가 아닌 업무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이에 따라 정부가 이달부터 근무시간 단축 시범사업, 전공의 수련기관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보완책 없이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복귀 가능성 희박 '전공의 없는 병원' 현실로 근로자·피교육자 역할 공존
업무 책임 가중에 처우는 열악… 지역 전공의 "피교육자가 값싼 노동력으로"
정부 '전공의 근무시간 단축 시범사업' 공모 마감…대전 1곳·충남 1곳 신청
의료계 "행·재정적 지원으로 근무환경 개선, 대체인력 확대" 제시
대전일보DB

의료공백 사태의 핵심인 전공의들의 수련환경 개선이 다각도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피교육자와 근로자의 역할이 공존하는 만큼, 근무시간 조정에 따른 수련기회 확대와 함께 대체인력을 확대하는 진료지원책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가 수련환경 개선 방안으로 내놓은 '전문의 중심 병원체계'가 전공의 배제가 아닌 업무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이런 조치가 현실화되기 위해선 의료당국의 세심한 행·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지난 2월 20일. 대전지역에서만 400명이 넘는 전공의가 병원을 떠났다. 정부의 의대 증원과 수련환경에 대한 회의감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전공의는 인턴·레지던트를 포함, 전문의가 되기 전에 수련 과정을 거치는 이들을 칭한다.

선배들인 의사단체는 의대 증원의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며 '전면 철회'만 협상의 조건으로 내걸었지만, 전공의들은 현실적인 수련환경 개선 없이는 복귀도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실제 최소 복귀 시한인 전날(20일)에도 복귀 움직임은 미비했다.

보건복지부는 21일 전국에서 최근 3일 사이 돌아온 전공의는 31명에 그쳤다고 밝혔다.

대전지역에서는 단 한명도 돌아오지 않으면서, 지역 의료공백이 만성화될 위기에 직면했다.

이 같은 사태는 피교육자와 근로자라는 두 가지 역할을 감당해야 하는 현실을 인정받지 못한데 따른 결과라는 지적이다.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는 전공의법에 의거, 주 80시간 이내로 근무해야 하지만, 대부분 초과 근무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의 대학병원 소속 전공의는 "당직을 서는 날에는 파트타임 일을 다 수행하지 못해도 당직 콜이 오면 일을 처리해야 한다. 이를 처리하고 남은 파트 일을 수행하면 근무는 새벽에 끝난다. 일이 끝나면 다음날 수술하는 환자 동의서를 받기 위해 돌아다닌다"며 "잠을 잘 틈이 없다 보니 근무는 물론이고, 교육에도 지장이 된다"고 토로했다.

업무 과부화로, 수련의로서의 교육 기회를 놓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이달부터 근무시간 단축 시범사업, 전공의 수련기관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보완책 없이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부는 최근 전공의의 주당 근무시간을 80시간에서 60-70시간으로 줄이는 '근무시간 단축 시범사업' 공모를 마감했다. 하지만 충청권에서는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과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등 2곳만이 신청했다.

전공의 근무시간 단축 시 발생하는 공백을 메울 인력이 부족하다는 게 주된 이유라는 설명이다.

또 전공의들의 수련기관을 1차 의원으로까지 확대, 대학병원을 전문의 중심 체계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에도 반대 여론이 일었다.

전문의를 대거 영입, 전공의 업무 부담을 줄이는 데에는 찬성하면서도, 교육 범위가 좁은 1차 의원에서 수련할 경우 상대적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

이에 따라 전문의 중심 병원 체계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공의의 대체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송기현 대전보건대 보건의료경영학과 교수는 "정부, 지자체, 병원 모두 행·재정적 지원으로 이들의 업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체 인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할 때"라고 제언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