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자 사망때마다 진퇴양난"…美, 이란에 줄타기 애도 외교

박성민 2024. 5. 21. 17: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라이시 사망에 美국무부, 짧은 애도 성명 후 브리핑서 인권침해 열거
"김정일 때는 별도성명 없이 韓대통령과 한반도 상황 논의 사실만 발표"
숨진 라이시 대통령 애도하는 이란인들 (테헤란 EPA=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헬기 추락 사고로 숨진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 애도식이 열린 테헤란에서 여성들이 라이시 대통령의 포스터를 들고 있다. 라이시 대통령을 포함한 이란 고위 각료들은 전날 아제르바이잔 국경 지대에서 탑승한 헬기가 산악 지대에 추락하면서 사망했다. 2024.05.21 passion@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성민 기자 = 헬기 추락사고로 숨진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에 대한 미국 정부의 애도 표명을 두고 적대국에 대한 미국의 줄타기 외교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20일(현지시간) "미 정부의 라이시 애도는 '예민한 외교적 의식'을 반영해준다"며 지탄을 받았던 외국의 독재자들이 사망할 때마다 미국은 적절한 언사를 찾기 위해 부심해 왔다며 과거 사례들을 조명했다.

이날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 명의로 애도 성명이 나오자 미국 내 강경파를 중심으로 즉각적인 비판이 쏟아졌다.

반서방 연대의 선봉에 서며 조 바이든 행정부의 관점에서 잔인한 폭군이자 세계 평화에 대한 위협이었던 라이시 대통령의 사망에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그를 가혹하게 비난해야 하는 데도 왜 애도를 표했느냐는 불만에서다.

공화당 소속 톰 코튼 상원의원은 소셜미디어에 "이 괴물의 죽음에 애도를 표하는 건 수치스러운 일"이라고 적었다.

밀러 대변인은 이날 국무부 브리핑에는 이러한 비판과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그것(성명)이 그가 판사나 대통령으로서의 기록이나 그의 손에 피가 묻었다는 사실을 바꾸는 것은 아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라이시는 거의 40년간 이란 국민을 탄압하는 데 가담했다"며 "1988년 수천명의 정치범을 초법적으로 살해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는 등 끔찍한 인권 침해에 연루됐다. 대통령 재임 기간엔 이란 여성과 소녀에 대한 인권 유린을 비롯해 최악의 인권 침해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NYT는 밀러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구체적인 악행을 열거하며 라이시 대통령을 맹비난한 것을 두고 "미국 정부의 줄타기를 분명히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슬퍼하는 상대국 국민을 위해 애도를 표할 필요성과, 진실을 말하고 미국의 원칙을 분명히 표현할 필요성 사이에서 균형을 맞췄다는 것이다.

라이시는 과거 정치범 숙청 등을 주도하면서 서방에서는 '테헤란의 도살자'라는 악명으로 불리던 인물이기도 하다.

미 당국자들은 지난 수십년간 소련, 북한, 베네수엘라 등과 같은 국가에서 적대적인 독재자들이 사망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진퇴양난에 직면했으며, 그때그때 다르게, 때로는 변형된 방식으로 대처해왔다고 NYT가 짚었다.

앞서 지난 2013년 반미 독재자였던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암으로 숨졌을 때 버락 오바마 당시 미 대통령은 차베스에 대한 애도 표현 없이 베네수엘라 국민을 향한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당시 성명에서 "차베스가 숨진 이 도전적 시기에 미국은 베네수엘라 국민에 대한 지지와 베네수엘라 정부와 건설적 관계 발전에 대한 관심을 재확인한다"며 "베네수엘라가 역사의 새로운 장을 시작함에 따라 미국은 민주주의 원칙, 법치, 인권 존중을 증진하는 정책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6년 3월 쿠바를 국빈방문한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오바마 전 대통령은 2016년 11월 쿠바의 피델 카스트로가 숨졌을 때는 다소 온도 차가 있는 성명을 내놨다.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이 당시 수십 년 만에 양국 관계를 회복시킨 점을 언급, "나는 쿠바 국민에게 우정의 손길을 내밀었다"며 성명을 시작했다. 세계를 핵전쟁 직전까지 몰고 간 독재자이자 소련의 오랜 동맹이던 카스트로에 대해서는 "역사는 이 한 인물이 그를 둘러싼 국민과 세계에 미친 영향에 대해 기록하고 평가할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이를 두고 카스트로 정권을 맹렬히 비판해 온 공화당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한심하다"고 비판했다.

미국 정부가 아예 성명조차 발표하지 않은 독재자도 있었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011년 12월 사망했을 때 백악관은 성명을 내지 않았다고 NYT는 짚었다. 대신 백악관은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과 한밤중에 전화 통화를 하고 김정일 사망에 따른 한반도 상황을 논의했다"고 짧게 발표했다고 NYT는 전했다.

아울러 악명높은 폭군의 경우라도 종종 복잡한 뉘앙스의 성명이 나오는 경우가 있었다.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공산당 서기가 1953년 3월 뇌졸중으로 사망하자 당시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미 대통령은 스탈린에 대한 평가를 배제한 채 "미국의 생각은 마을, 도시, 농장, 공장에 있는 소련의 모든 국민, 남성과 여성, 소년과 소녀에게 전달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은 또 "그들은 어느 곳에서든 모든 이의 아버지인 동일한 하느님의 자녀이다. 전 세계 사람들처럼 수백만의 러시아인도 우호적이고 평화로운 세상에 대한 우리의 갈망을 공유하고 있다"며 "(각국) 정부 인사들의 정체성과 무관하게 이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미 육군 장성이던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은 2차 세계대전에서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으로서 스탈린의 소련군과 함께 나치 독일에 맞서 싸웠지만, 스탈린은 사망했을 때 미국의 강력한 적이었다.

min22@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