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스탠포드 종신교수 황승진의 경영 강의 '경영이라는 세계'

허남이 기자 2024. 5. 21. 16: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스탠포드 최초 한국인 종신교수, 실리콘밸리 한국계 벤처들의 대부, 쿠팡·토스·배달의 민족 투자로 국내에 잘 알려진 벤처캐피털 '알토스벤처스'의 숨은 설립자, 《경영과학》 선정 50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논문 TOP 10 '채찍효과'의 창시자, 한화·HP·길리어드 등 국내외 대기업들의 경영 자문인 황승진 스탠포드교수의 첫 대중서다. 스탠포드와 실리콘밸리에서 직접 보고 듣고 경험한 '경영이라는 세계'를 심도 있게 다룬다.

사진제공=다산북스

지금 세상의 부와 지식 그리고 생산은 모두 기업으로 수렴한다. 기업은 경제의 주역이며, 기업의 실력이 모여 국가의 힘이 된다.

그렇다면 기업의 실력은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바로 '경영'이다. 어떤 리더가 어떻게 경영하느냐에 기업의 존망이 달려 있다.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경영을 한다는 것은 곧 세상을 경영하는 일이다.'

35년간 경영학계와 비즈니스계의 최전선에 머물며 아마존, 구글, 애플, 메타, HP, 토요타, 포스코, 코닥, 노키아 등 기업들의 흥망성쇠를 가까이에서 지켜본 경영학자의 눈을 빌려 경영의 힘으로 작동하는 거대한 세계를 관찰해 보자.

『경영이라는 세계』는 미국 스탠포드경영대학원에서 수많은 학생이 '인생 강의'로 손꼽는 저자의 강의를 오롯이 담은 책이다. 이 책은 경영학을 구성하는 다섯 개의 요소를 따라, 총 5부로 구성되었다. 먼저 1부에서는 경제학에 대해 이야기한다. 경제학은 경영학의 모체가 되는 학문으로, 재정학의 최적 포트폴리오 유도, 마케팅의 가격 분석, 생산의 재고관리 모두 경제학 분석 방식에 기초한다. 1부에서는 시장의 형성과 기업의 존재 이유, 불공평의 시작, 최적화를 향한 과정을 그리며 현대 사회의 핵심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2부에서는 기업, 특히 조직학에 대해 이야기한다. 시장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을 대체하기 위해 인간은 기업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이 조직을 어떻게 운영하면 좋을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조직학에는 그 모든 고민이 담겨 있다. 저자는 특히 '생각하는 조직'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기계, 특히 AI가 무수히 많은 데이터를 활용해 스스로 정답을 도출하듯 조직 또한 그렇게 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2부에서는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리더의 조건과 조직문화에 대해 설명한다.

3부는 마케팅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경제학에서는 인간을 합리적인 존재로 가정하지만, 사실 모두가 알다시피 우리는 합리적이지도, 따라서 경제적이지도 않은 선택을 한다. 3부는 경제학의 보완재로서 심리학이 경영학, 특히 마케팅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행동경제학의 태동과 접근 방식을 따라가며 소비자와 기업이 어떻게 사고 팔아야 하는지 알아볼 수 있다.

4부에서는 실리콘밸리의 혁신과 VC(벤처캐피털)에 대해 이야기한다. 실리콘밸리는 어떻게 세계 경제의 중심지로 거듭났을까? 답은 '혁신'과 그 혁신을 가능케 한 '투자'에 있었다. 4부에서는 지금 실리콘밸리의 투자 방식과 혁신에 대한 접근법을 살펴보고, 이를 어떻게 한국의 기업 생태계에 복사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

마지막 5부에서는 저자의 전문 분야인 운영과 생산에 대해 다룬다. 좋은 시스템은 원활한 공급망으로 완성된다. 5부에서는 특히 수요예측과 이에 대응하는 법을 알아보고 품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불확실한 세상에서 기업과 개인이 어떻게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지에 관한 인사이트도 담았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지금까지 깊이 있게 알지 못했던 세계의 흐름을 목격하는 순간 자신의 비즈니스와 인생이 나아갈 방향에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 황승진 교수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과를 졸업하고 1981년, 29세의 다소 늦은 나이에 로체스터대학교로 유학을 떠나 통계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동 대학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스탠포드에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 부교수, 테뉴어tenure, 정교수와 석좌교수를 거쳤다. 주 연구 분야는 '공급망 관리'와 '정보 경제학'으로, 이 분야의 주제로 5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으며 논문의 구글 피인용 횟수만 2만 4000여 건에 달한다.

저자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수없이 많은 기업의 자문 활동을 했으며, 2022년 은퇴 후에도 여전히 스탠포드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미국과 한국, 싱가포르, 일본 등을 오가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황승진 교수의 강의를 2000년대 초 들었던 이랜서 박우진 대표는 "교수님은 스탠포드대 'SEIT과정'의 인연으로 만나 지금까지 교류하는 존경하는 스승"이라며 "'경영이라는 세계'는 기업 임직원뿐만 아니라 스타트업들과 학생들처럼 실리콘밸리의 경험과 도전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도 필요한 책이다. 특히 교수님께서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VC를 만드시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셨고, 실리콘밸리에서 많은 스타트업들의 흥망성쇠를 직접 보고 경험 하셨다. 미국 실리콘밸리와 스탠포드 스타트업들의 혁신과 성장에 대해 관심이 있는 더 많은 젊은 스타트업들과 학생들이 읽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허남이 기자 nyheo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