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 허미미, 여자 선수로는 29년 만에 세계선수권대회 정상

임정우 기자(happy23@mk.co.kr) 2024. 5. 21. 16: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허미미(세계랭킹 6위·경북체육회)가 한국 선수로는 6년 만이자 한국 여자 선수로는 29년 만에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정상에 올랐다.

허미미는 21일(한국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무바달라 아레나에서 열린 2024 국제유도연맹(IJF)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여자 57㎏급 결승에서 세계랭킹 1위 크리스타 데구치(캐나다)를 연장(골든스코어)에서 반칙승으로 제압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허미미가 21일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여자 57㎏급 정상에 오른 뒤 기뻐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허미미(세계랭킹 6위·경북체육회)가 한국 선수로는 6년 만이자 한국 여자 선수로는 29년 만에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정상에 올랐다.

허미미는 21일(한국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무바달라 아레나에서 열린 2024 국제유도연맹(IJF)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여자 57㎏급 결승에서 세계랭킹 1위 크리스타 데구치(캐나다)를 연장(골든스코어)에서 반칙승으로 제압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국 선수가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건 2018년 남자 73㎏급 안창림, 남자 100㎏급 조구함(이상 은퇴)에 이어 6년 만이다. 한국 여자 선수가 정상에 오른 건 1995년 여자 61㎏급 정성숙, 여자 66㎏급 조민선 이후 29년 만이다.

허미미는 이날 러시아 출신 개인중립선수(AIN) 다리아 쿠르본마마도바, 아제르바이잔의 아젤리아 토프라크, 우즈베키스탄의 수쿠리온 아미노바를 모두 한판승으로 제압하고 준결승에 올랐다. 허미미의 상승세는 멈출 줄 몰랐다. 그는 세계랭킹 2위인 캐나다의 제시카 클림카이트까지 업어떨어뜨리기 절반으로 꺾고 결승행 출전권을 따냈다.

허미미가 결승에서 만난 데구치는 캐나다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선수로 2019년과 2023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이 체급 최강자다.

그러나 허미미는 위축되지 않았다. 경기 초반부터 상대를 적극적으로 몰아붙인 그는 59초 만에 지도 1개를 뺏었다. 승부는 치열했다. 허미미는 1분 13초에 지도 1개를 받았다. 1분 36초에는 두 선수가 나란히 지도 한 개씩을 주고받게 됐다. 둘 중 한 명이 지도 1개를 받으면 그대로 경기가 끝나는 상황.

허미미는 이를 악물고 싸웠지만 정규시간에는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연장에서도 허미미는 물러서지 않았다. 계속해서 데구치를 압박한 그는 연장 8분 16초에 회심의 업어치기를 시도했다. 이 때 데구치가 뒤로 물러서 주심은 경기를 잠시 중단시켰다. 주심이 데구치에게 세 번째 지도를 선언하자 허미미는 환호했다. 상대 선수의 반칙 3개로 허미미의 우승이 확정됐기 때문이다.

한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를 둔 허미미는 2002년 일본에서 태어났다. 2021년 일본 국적을 포기하고 태극마크를 단 그는 2022년 6월 국제대회 데뷔전인 트빌리시 그랜드슬램에서 금메달을 따내는 저력을 발휘했다. 세계유도선수권대회를 제패한 허미미는 이제 파리올림픽 금메달에 도전한다. 일찌감치 파리올림픽 출전을 확정한 그는 한국에 금메달을 안길 유력 후보 중 한 명으로 꼽히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