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 리필 해주다 망했다”…미국 최대 해산물 외식업체 '레드랍스터' 파산

2024. 5. 21. 15: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최대 해산물 외식업체 레드 랍스터(Red Lobster)가 19일에 파산 신청했다고 20일(현지시간) CNN이 보도했다.

그러나 레드 랍스터는 고금리·인플레이션 등의 여파로 위기를 맞았다.

레드 랍스터 조나단 티브스 최고경영책임자(CEO)는 파산 신청한 이유에 대해 경제침체, 업계 내 경쟁 심화, 비용 상승 그리고 '무모한 경영 판단과 전략실패'를 꼽았다.

2016년엔 세계 최대 참치회사인 타이 유니온 그룹이 레드 랍스터 주식의 25%를 취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금리·인플레이션 등 비용 급증에 '새우 무한 리필' 서비스로 손실 더 커져


미국 최대 해산물 외식업체 레드 랍스터(Red Lobster)가 19일에 파산 신청했다고 20일(현지시간) CNN이 보도했다. 이에 손실이 큰 점포를 폐쇄하고 나머진 영업할 계획이다. 현재 레드랍스터는 미국에 551개, 캐나다에 27개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법원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회사는 10억~100억달러(약1조3642억원~13조6428억원) 사이의 부채를 신고했다. CNBC 보도에 따르면 유통업체인 퍼포먼스 푸드 그룹 (Performance Food Group)이 혼자서 2400만달러(약327억4272억원) 이상의 빚을 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레드 랍스터는 연간 6400만 명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간 20억달러(약2조7285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북미에서 구매된 랍스터 꼬리 5개 중 1개는 해당 회사에서 팔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레드 랍스터는 고금리·인플레이션 등의 여파로 위기를 맞았다. 코로나 19팬데믹 여파도 컸다. 매장 방문 고객 수는 2019년 이후 약 30% 줄어들었다.

특히 지난해 고객 유치를 위해 월요일 한정 이벤트였던 ‘새우 무한 리필’을 상시로 바꿨더니 예상을 웃도는 주문으로 손실이 늘었다. 새우 무한 리필로 인한 손해는 1100만달러(약 150억원)으로 집계됐다.

레드 랍스터 조나단 티브스 최고경영책임자(CEO)는 파산 신청한 이유에 대해 경제침체, 업계 내 경쟁 심화, 비용 상승 그리고 ‘무모한 경영 판단과 전략실패’를 꼽았다.

레드 랍스터는 1968년에 문을 열었다. 비교적 저렴한 해산물 레스토랑으로 인기를 끌며 1970 미국 식품 대기업 제너럴 밀스의 산하에 들어갔다. 이후 1995년 다른 레스토랑 사업과 함께 분사했다.

2016년엔 세계 최대 참치회사인 타이 유니온 그룹이 레드 랍스터 주식의 25%를 취득했다. 이후 출자비율을 49%까지 높였으나, 경영부진으로 2024년 1월부터 전체 주식을 매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소희 인턴기자 ysh@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